- 영문명
-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Mobile Advertising Avoidance Activity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신일기(Shin, Ilgi) 김형석(Kim, Hyungsuk)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6권 3호, 163~1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모바일 광고에 대한 물리적 회피와 인지적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광고에서 느끼는 오락성과 개인성은 광고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침입성에 대한 인식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사용자의 미디어 이용 동기와 미디어 이용능력은 광고인식과 침입성인식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광고의 침입성과 광고인식은 각각 모바일 광고의 회피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회피에 있어서 침입성 인식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광고 인식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회피에서는 침입성 인식과 광고 인식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입성 인식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 광고 인식은 인지적 회피 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 physical avoidance and cognitive avoidance in mobile advertis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 of amusement and individuality toward mobile advertising are positively affective to perception of advertising , but negatively affective to perception of advertising Intrusiveness. Second, Mobile Use Motivation and Mobile Use Ability of Smart-Phone User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both perception of advertising and perception of advertising Intrusiveness. Third, perception of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perception of advertising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avoidance activities in mobile advertising. In physical avoidance activities, it is found that only perception of advertising Intrusiveness is positively affective and significant. Besides, It is found that perception of advertising Intrusiveness is positively affective but perception of advertising is negatively affective to cognitive avoidance activ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의 설정
4. 주요개념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5.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6. 연구결과 및 해석
7. 결론 및 연구의 한계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케이블TV 직접사용 채널에 관한 연구 *
- 지상파 방송광고 산업의 제도적 개선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통합 뉴스룸 이후 언론조직문화의 변화와 인식이 기자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시각이미지에 내재된 패러디 코드에 대한 논의
- 새 술은 새 부대에 : 소셜 미디어 · 인식공유 및 정치권력
- 모바일 광고 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스마트폰이용자를 중심으로
- 방송작가 교육의 현황과 교육 프로그램 마련 방안에 대한 연구
-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충성도 결정요인 연구: 슈퍼스타 K를 중심으로
- 레프 도진, 역사를 이야기하기 <형제자매들>과 <가우데아무스>의 공연 비평적 관점에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포스트 코로나, 일상적 여가의 재발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