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Direct Operating Channel of Cable TV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이진규(Lee, Jinkyu) 신태섭(Shin, Taesub)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6권 3호, 74~94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케이블TV SO의 직사채널의 현황과 방송법상 근거를 점검하고, 직접 사용 채널을 둘러싼 쟁점을 바탕으로 실무자와 연구자를 대상으로 전문가 심층인 터뷰를 통해 직사채널의 활용방안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무 자와 연구자들은 직접사용 채널의 개념을 모르거나 혼용하고, 애매모호하게 이해하고 있었다. 이는 방송법 자체가 직접사용 채널을 모호하고 불명확하게 기술하고 있는 점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국의 케이블TV SO 95개 사업자 가운데 65개 사업자가 직접사용 채널을 편성하지 않고 있는데, 응답자들은 그 이유를 한편으로는 SO사업자의 인력과 재정의 한계,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직접사용 채널의 운용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부재 등 법령의 미비와 그 운용에 대해 소극적인 정부정책 때문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응답자들은 케이블TV가 소수의 거대 MSO 체제로 재편되면서 나타난 지역성 약화와 상업주의 심화의 부작 용을 완화하는 데 직접사용 채널이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과 정책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공감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spected the current status of Cable TV SO s Direct Operating Channel and its grounds for the broadcasting laws,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ways to utilize Direct Operating Channel through the expert s in-depth interviews with the hands-on workers and researchers based on the issues regarding Direct Operating Chann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hands-on workers and researchers don t know or mix the concept of Direct Operating Channel and understand it vaguely. It turns out that this has a lot to do with that the broadcasting law itself describes Direct Operating Channel vaguely and unclearly. Second, more than half of Cable TV SO operators(65 operators) among Cable TV SO operators in the whole country(95 operators) hasn t organized the Direct Operating Channels. The respondents recognize that this is because of the inadequate legislation such as the absence of specific guidelines and the defensive government policies as well as SO operator s personnel and financial limitations. Third, the respondents agree that the broadcasting laws and policies should be improved so that the Direct Operating Channel can play the positive role in minimizing the side effects such as the weakening of regionality and reinforcement of commercialism caused by the cable TV s transferring to the MSO System.
목차
1. 서론
2. 케이블TV 직사채널의 개념과 현황 및 문제점
3. 케이블TV 직사채널의 역할과 발전방향 : 전문가 심층인터뷰 연구의 결과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케이블TV 직접사용 채널에 관한 연구 *
- 지상파 방송광고 산업의 제도적 개선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통합 뉴스룸 이후 언론조직문화의 변화와 인식이 기자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시각이미지에 내재된 패러디 코드에 대한 논의
- 새 술은 새 부대에 : 소셜 미디어 · 인식공유 및 정치권력
- 모바일 광고 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스마트폰이용자를 중심으로
- 방송작가 교육의 현황과 교육 프로그램 마련 방안에 대한 연구
-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충성도 결정요인 연구: 슈퍼스타 K를 중심으로
- 레프 도진, 역사를 이야기하기 <형제자매들>과 <가우데아무스>의 공연 비평적 관점에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포스트 코로나, 일상적 여가의 재발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