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史蒥問於夫子』의 文字와 編聯에 대한 고찰
이용수 54
- 영문명
- Study on Character and slip orders of arrangement of 『SHILIU WENYU FUZI』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최남규(Choi Nam Gyu)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9호, 175~19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史蒥問於夫子』는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九)』 중의 한 편으로, 모두 12간으로 되어 있다. 齊나라 관리의 아들인 史蒥가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에 대하여 공자에게 가르침을 구하는 내용이다. 전체적으로 『史蒥問於夫子』의 내용은 세습, 우임
금과 탕 임금에 관한 내용, 나라를 다스릴 때 교육을 근본으로 해야 하는 것, 여덟가지 금기사항, 강함(强)과 공경(敬), 매사에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조심스럽게 행해야 하는 것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濮茅左의 정리본과 본문과의 편련의 차이
는, 본문은 제3간과 제10간은 고대 성왕에 대한 언급으로 서로 연결이 되는 내용이고, 제9간과 8간은 모두 공경에 대한 언급으로 문자의 흔적에 따라 제9간이 제8간의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았다. 내용에 있어서는, 제2간에서 정리본이 隷定한 ‘或’
자를 본문은 ‘弍’자로 隷定하였고, 정리본은 ‘아들이 친히 계승하면 미혹이 생기는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나 본문은 ‘세습하는 것은 아들이 아비의 분신이기 때문이다’라는 내용으로 보았다. 또한 제7간의 내용 중 정리본은 백성이 신뢰를 하지 않게 되
는 것은 ‘호화롭게 장식된 마차를 몰거나, 소송을 함부로 임의대로 바꾸기’ 때문인것으로 보고 있으나, 본문은 ‘마차를 빨리 몰아 수렵하는 것, 소송을 하는 것’으로보았다. 이외에도 제9간에서 정리본은 단순히 어떤 것을 ‘무례하고 공경하지 않는
가’라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조상에게 제사를 드릴 때 무례하게 굴 수 없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영문 초록
『SHILIU WENYU FUZI』is a passus of 『The Shanghai Museum bamboo slips(9)』, which consists of 12 bamboo slips. The content of a passus is that Shiliu who was the son of a government official in QI dynasty asked for a lesson about how to govern a country from Confucius. It generally delineates a hereditary power, the King Yu and King Tang, an education which should be fundamental to rule a country, eight kinds of taboos, strongness,
respect, being careful all the time and so on.
I have two different opinions on the slip orders of arrangement from PU MAO ZUO’s.
First, the 3rd slip is related to 10th because those all are about an ancient king. Second, the 9th slip should precede the 8th-both all describe the respect-according to the trace of the characters on the slips. And there are several different views on contents between us as well. First, in the 2nd slip, I decoded the character Pu regarded as 或 into a regular script 弍. Pu understood this slip as “If the son succeed to the royal line, he should be enchanted.” However, I understood this one as “Succeeding to the royal line is that the son is the other self of his father.” In addition, in the 7th slip, Pu thought the reason why people don t trust a king was “riding a lavishly decorated carriage or randomly changing the litigation”. On the other hand, I considered the reason as “driving a carriage fast to hunt
and litigating.” Lastly, in the 9th slip, Pu simply regarded the content as “being rude and not respectful.” But I regarded it as “when people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ir ancestors, they should not be rude.”
목차
Ⅰ. 서론
Ⅱ. 文字와 編聯에 대한 고찰
1. 제 1+2 간
2. 제 3+10 간
3. 제 4+5+6+7 간
4. 제 9+8 간
5. 제 11+12 간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