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1세기 한국서예의 패러다임
이용수 38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장지훈(張志熏)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9호, 285~30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한국서예는 정체성에 대한 대혼란을 겪으면서, 한편으로 21세기 한국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서예가 적응해가기 위해 몸부림을 치는 과정에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전통의 역사성과 계통적 성향이 강했던 인문으로서의 精神優位的 서
예는 점차 인식이 줄어든 반면, 표현력이 극대화된 예술로서의 形態優位的 서예인식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는 이성 보다는 감성을, 클래식 보다는 대중가요를, 역사 보다는 신세계에 관심을 두는 사회적 현상과도 맞물려 있다. 때문에 21세기에
접어들어 한국의 서예문화는 전통의 순수성 보다는 현대의 감각성이 각광을 받고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시각적 차이는 크겠지만, 그 관점을 차치하고서라도 변화의 시대흐름 속에서 우리는 21세기 한국서예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제안해 볼 수 있겠다.
첫째, ‘敎化’에서 ‘交感’로의 변화이다. 20세기까지 전승해온 서예인식 가운데 목표로 삼았던 ‘바르게 쓰기’라는 점을 이제는 ‘아름답게 쓰기’라는 점으로 접근해야한다. 즉, 과거 서예는 글씨를 통해 정서를 바르게 함양하고 교훈적 감화를 주는 데
목표를 두었다면, 오늘날 서예는 글씨를 통해 감흥을 느끼게 하고 감성적 소통을 이끌어내는 방향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둘째, ‘正法’에서 ‘眞法’으로의 변화이다. 20세기까지 전승해온 서예교육은 대체로 정형화된 틀과 규율적인 正法 ․ 正道를 중시
하는 것으로부터 점차 창의적 세계로 나아갈 것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오늘날 서예는 창의적 사고활동과 감성개발의 교육으로서 접근하고, 이를 통해 점차 전통적인서법과 수신성 ․ 역사성 등으로 거슬러 올라갈 필요가 있다. 셋째, ‘停滯’에서 ‘正體’
로의 변화이다. 한국서예는 원시적 미감이 강렬했던 삼국시대 이후로 많은 심미의 변화과정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상당히 정형화된 틀 속에서 예술성이 停滯되어 있다. 이는 법첩이라 불리는 규범적 전통서예에 상당히 편중되어있기 때문이
며, 예술로서의 서예본질에 대한 고민, 한국서예에 대한 역사적 인식 등에 대한 부재에서 오는 것이다. 특히 한글은 궁체가 한글서예를 대변하고 있다고 할 정도로 그 아름다움은 말할 것도 없겠지만, 궁체가 한글서예의 정형화를 가져오면서 다양한 한
글서예의 역사콘텐츠 개발이 결여된 점도 사실이다. 한글은 우리나라만의 서예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특수성이 강한 분야이기 때문에 조선시대 다양한 한글서예에 대한 학문적 탐구와 창작콘텐츠로서의 인식을 통해 한국서예의 정체성을 살리는 데 일조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예술로서의 서예
Ⅲ. 교육으로서의 서예
Ⅳ. 문화로서의 서예
Ⅴ. 나오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