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 교육 연구
이용수 483
- 영문명
- A Study on Communicative Method Education for the Developing Workplace Literacy - Focusing on the health and medical field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이재형(Lee, Jae-h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8輯, 369~3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e education was to be a discussion about wheth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play a role in workplace literacy and adult literacy education.
In this regard, studies related to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will have greater meaning.
But will to ensure that the transition of univers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strategies in dealing mainly in the Korean language far a particular job situation to take advantage by finding a specific job communication strategies
in language training in order to develop workplace literacy, namely the situation of the communication strategy(context), it is necessary above all to the materials, and activities. When this point has been overlooked, because even if we set a practical language courses, even if it is difficult to deal with workplace literacy efficiently at the language teaching-learning scene.
This study looked at this issue ordinances covered the SBAR communication model that is being actively discussed in the health and medical field.
S(situation)-B(background)-A(assessment)-R(recommendations) are very effective method in reducing the risk of medical errors through improved communication of the decision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members of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and it has excellent scalability. Therefore, this model seems to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for literacy development and to respond to the NCS communication skills.
목차
1. 서론
2.직업문식성교육에대한국어교육적접근
3.직업문식성교육을위한의사소통방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답-, -롭-, -스럽-’ 파생어 목록 설정과 교육 내용
- 직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 교육 연구
- 황순원의 『학』 에 대한 일 고찰
- 주제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학술적 접근 양상과 글쓰기 교육의 방향(1)*
- 최명익 『장삼이사』 의 초점자 연구
- 한국 근현대소설 속 질병 연구 쟁점과 흐름 (1)
- 박완서 소설의 애도 불가능성 연구
- 예학자 신독재 김집 전설 고찰
- <증상연정(增像演訂)심청전>의 텍스트 특성과 그 의미
- 한림별곡의 형태 및 갈래 이해의 준거 전환
- 소설 어휘의 등급 처리와 텍스트의 이독성 판단
- 신석초의 고려가요 수용시 고찰
- 국제여행소설에 나타난 국외 도시 장소 정체성의 상상 방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