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완서 소설의 애도 불가능성 연구
이용수 809
- 영문명
- Study on Impossibility of Mourning in Park Wan-seo s Novels - With Focus on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in[The Naked Tree]-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미영(kim, mi-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8輯, 135~1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primary axis which underlies the works by Park Wan-seo is “war, trauma, and mourning.” The components of the axis are interlinked with one another, with “mourning” as a destination. Especially, the death of a “brother” carries
an important weight in Park Wan-seo s works. However, death is not the essence of her narratives. Rather, one should try to understand why the person having experienced a loss cannot come out of the mourn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loss of those who survived and the impossibility for them to completely leave behind the sorrow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daughter.
The mother inThe Naked Tree exert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narrator in establishing her self-identity. In the present study, the mother s way to mourn deaths was interpreted from a Freudian approach to depression, while a reason why not only the mother but also the narrator could not end the mourning was examined from Melanie Klein s object relations theory.
The mother whose mourning had not yet ended did not bring herself to take care of the narrator. And, the narrator, whose existence was ignored, was feeling ambivalent toward her mother, at the same time loving her and hating her,
and resenting her, and clinging to her and rejecting her. Furthermore, the narrator was experiencing anxiety because of the “lost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상실에 대한 애도 반응
3. 애도를 막는 모녀관계
4. 끝낼 수 없는 애도
5.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답-, -롭-, -스럽-’ 파생어 목록 설정과 교육 내용
- 직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 교육 연구
- 황순원의 『학』 에 대한 일 고찰
- 주제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학술적 접근 양상과 글쓰기 교육의 방향(1)*
- 최명익 『장삼이사』 의 초점자 연구
- 한국 근현대소설 속 질병 연구 쟁점과 흐름 (1)
- 박완서 소설의 애도 불가능성 연구
- 예학자 신독재 김집 전설 고찰
- <증상연정(增像演訂)심청전>의 텍스트 특성과 그 의미
- 한림별곡의 형태 및 갈래 이해의 준거 전환
- 소설 어휘의 등급 처리와 텍스트의 이독성 판단
- 신석초의 고려가요 수용시 고찰
- 국제여행소설에 나타난 국외 도시 장소 정체성의 상상 방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