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제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학술적 접근 양상과 글쓰기 교육의 방향(1)*
이용수 181
- 영문명
- A Study on Learners’ Academic Approach Aspects through the Subject Analysis and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 Focusing on cases of college students’ papers submitted between 2013 and 2015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정숙(Kim, Jeong-sook) 백윤경(Baek, Yun-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8輯, 303~32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research areas and research methods of those papers through the subject analysis and key words of 134 final assignment papers that were submitted by college students who took a course of writing education,
academic writing 2 that was open between 2013 and 2015. Also,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learners’ concern areas and subject approaching methods.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connectivity between learners’ concern-interest and their majors, and identify efficiency and possibility of circulating writing education centered on the process. This study attempted to
appoint each analysis method and academic approach aspects and meaning by designating evaluation criteria as 1) academic research fields, 2) the core area, 3) approach methods, and 4) key words.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college student learners’
thesis subjects mainly focused on issues of the social phenomena or the social reality, and that they tried to have academic approaches in connection with learners’ own majors. Contrast to other areas, learners majoring in the humanity and the social sciences showed a low aspect, which demonstrated the decrease of interest of Korean college students in the humanity.
Currently, at the point of moving into intelligence society requiring creation of converged-compound knowledge such as compound stud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to be in contact with the knowledge of humanity.
Such college education as academic writing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achieve basic approaching methods to new valuable research fields, through the connection of learners’ major knowledge system with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목차
1. 서론
2. 사례 분석의 틀과 방법
3. 사례 분석 결과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답-, -롭-, -스럽-’ 파생어 목록 설정과 교육 내용
- 직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 교육 연구
- 황순원의 『학』 에 대한 일 고찰
- 주제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학술적 접근 양상과 글쓰기 교육의 방향(1)*
- 최명익 『장삼이사』 의 초점자 연구
- 한국 근현대소설 속 질병 연구 쟁점과 흐름 (1)
- 박완서 소설의 애도 불가능성 연구
- 예학자 신독재 김집 전설 고찰
- <증상연정(增像演訂)심청전>의 텍스트 특성과 그 의미
- 한림별곡의 형태 및 갈래 이해의 준거 전환
- 소설 어휘의 등급 처리와 텍스트의 이독성 판단
- 신석초의 고려가요 수용시 고찰
- 국제여행소설에 나타난 국외 도시 장소 정체성의 상상 방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