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풍수 진산·주산의 정상화와 타자화
이용수 199
- 영문명
- The Normalization and Othering of Fengshui Jinsan and Jusan in th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권선정(Seonjeong Kwon)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28권 제2호, 51~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전국 8도에 속하는 총 335개 군·현 읍치를 대상으로 지역별, 시기별로 진산, 주산 상황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전통적 공간인식체계인 풍수의 차이와 관련된 진산, 주산 개념의 정상화와 타자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조선 전기부터 중기까지는 진산 개념이, 그리고 조선후기에는 주요한 산 개념으로 주산이 기존의 진산과 혼재돼 있거나 주산이 주종을 이루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 경향을 정상화, 타자화 과정과 관련해 살펴보면 조선 전기에서 중기까지는 고려시대 ‘국가적 차원의 비보풍수’와 관련된 진산 관념이 정상적 위치를 유지했고 조선후기에는 조선 전기 국도나 왕릉 또는 중앙 권력층이나 지식엘리트들에 한정돼 있던 ‘명당풍수’가 정상화 과정을 통해 대중적, 지역적으로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조선 후기 접어들면서 주산 개념으로 대변되는 명당풍수가 진산 개념 그리고 기존의 국가적 차원의 비보풍수를 대체하는 정상화 과정이 수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which has been understood as a Korean traditional geographical thought,
each villages and cities had been located under the holy back-mountains called ‘Jinsan’(guardian mountain) or
‘Jusan’(main mountain). On this paper, I try to explore the more general inclinations of the changes of ‘Jinsan’ or
‘Jusan’ in the eight provinces of Joseon Dynasty. Consequently, I could identify that almost all of regions in eight
provinces showed the similar inclination that ‘Jinsan’ concept was prevalent from the beginning to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nd ‘Jusan’ came to be very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 think that this kind of change
from ‘Jinsan’ to ‘Jusan’ would be caused by the normalization of ‘Jusan’ concept in the late Joseon Dynasty.
Originally ‘Jinsan’ concept was related to ‘Bibofengshui’ of the previous Dynasty Goryeo and the traditional folk
beliefs to the holy mountains. And ‘Jusan’ was the very representative concept of Myeongdangfengshui which had
been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change from ‘Jinsan’ to ‘Jusan’, I think, means that
Myeongdangfengshui would replace the previous ‘Bibofengshui’ or traditional folk beliefs and its process might be
related to the normalization of Myeongdangfengshui or ‘Jusan’ concep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