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촌의 사회적 경제 조직, 실태와 과제
이용수 364
- 영문명
-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Rural South Korea - Trends and Challenges -
- 발행기관
- 한국농촌지도학회
- 저자명
- 김정섭(Jeong seop Kim) 임지은(Ji Eun Lim)
- 간행물 정보
- 『농촌지도와 개발』23권 1호, 53~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ur main concerns in this paper are with the several kind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in rural South Korea, inwhere social exclusion is likely to be prevalent over time. Approximately, there are 2,500~3,000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hich have been set up from 1990s. Most of their operational social aims are either to offer jobs or to provide social services for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in rural communities. They have several normative principles as a socialeconomy organization. But the two principles were less supported than the others; 1) the community’s initiative and partic-ipation, and 2) sharing surplus with community.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re involved in various types of business. The greatest number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re doing businesses in agriculture and agro-industry.On average, their value of asset is worth of 300 million wons. They are indebted for 130 million wons, averagely. Their average surplus is 110 million wons. Most of them are small businesses. It is enough to say that the social economyis at an early stage in rural South Korea. The social economy is confronted with some challenges, as follows. Firstly,the social economy organizers should be based on the needs of community in both setting up a new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nd managing businesses. Secondly, networking and cooperation between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should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Thirdly, the sound governance with public sector should be built.
목차
Abstract
1. 서 론
2. 사회적 경제의 개념과 한국 농촌을 배경으로 한 실태 조사 선행 연구
3. 농촌의 사회적 경제 조직 실태
4.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