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촌체험의 체험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체류기간의 조절효과 -
이용수 447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Rural Tourism - The Moderating Effect of Length of Stay -
- 발행기관
- 한국농촌지도학회
- 저자명
- 김경희(Kyung Hee Kim) 이선민(Sun Min Lee)
- 간행물 정보
- 『농촌지도와 개발』23권 1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rural tourists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Pine, & Gilmore, 1998; 1999).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d the moderating effect of length of stay on the proposed relationships. This study was attempt to develop measurement scales based on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Pine, & Gilmore, 1998). Data were collected from 481 visitors by field survey from the 10 rural tourism communities. SPSS 20.0 and Amos 18.0 statistical package were used for frequency,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The results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four dimensions of experience(esthetics, education, escape, and entertainment).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entertainment, esthetics, and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value,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addition, length of stay moderated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The entertainment and esthetics among experience factor had an effects on perceived value in the group of day visit group, and the entertainment, education, and esthetics among experience factor had an effects on perceived value in the group of stay night group. And the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the all group.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rural tourists’ satisfaction effectively, practitioners needs to develop rural tourism products by considering area of experience economy including tourists’ length of stay.
목차
Abstract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분석 결과
5.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