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고생의 노화불안과 노인에 대한 태도
이용수 254
- 영문명
-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xiety of aging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노년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현숙(Park, Hyun Suk) 조해경(Cho, Haekyung)
- 간행물 정보
- 『노년교육연구』 Vol. 1 No. 1, 21~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고령사회에서 노인부양의 주된 역할을 담당하게 될 여고생 들이 자신의 노화와 지금의 노인에 대하여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A시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노화불안과 노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화불안은 노인과 관계에 대한 두려움, 노년기 삶에 대한 불안, 상실에 대한 불안의 순이었으며, 상실에 대한 불 안은 조부모가 생존해 있지 않을수록 컸고, 노인과 관계에 대한 두려움은 노인 대상 봉사경험이 많을수록 컸다. 둘째, 노인에 대한 태도는 성격특성에 대한 태도, 지적 특 성에 대한 태도, 외적 특성에 대한 태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형제가 둘이고 월 소득 100만 원 미만인 경우가 노인의 성격특성에 대하여 더 긍정적이었고, 조부모가 생존해 있는 경우가 노인의 외적 특성에 대하여 더 긍정적이었으며, 월 소득이 높을수록 노인 의 지적 특성에 대하여 더 긍정적이었다. 셋째,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분석한 결과, 상실에 대한 불안과 노년기 삶에 대한 불안이 적을수록 노인의 성 격적 특성에 대하여, 상실에 대한 불안과 노인과 관계에 대한 두려움이 적을수록 노인 의 외적 특성에 대하여, 노인과 관계에 대한 두려움이 적을수록 노인의 지적 특성에 대하여 각각 더 긍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에 관한 교육과 미래 고령화정책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xiety of aging,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using a sample of 304 first grade high school girls in A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Respondents' anxiety of aging was the highest in fear of relations with the elderly, followed by anxiety of later life aging and then anxiety of lo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of loss of anxiety from grandparents existence, in fear of relations with the elderly from volunteering experiences for the elderly. ②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as the highest in attitudes toward personality of the elderly, followed by intellectual aspect, and then appear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personality from sibling number and monthly income, in attitudes toward appearance from grandparents existence, in 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aspect from monthly income. ③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personality were anxiety of loss and anxiety of later life, factor affecting attitudes toward appearance was anxiety of loss and fear of relations with the elderly, and factor affecting 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aspects was fear of relations with the elderly. Finally,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 about aging for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