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 괴팅겐시 노인 자치 코하우징 사례와 노인교육의 의의

이용수  943

영문명
he significance of elderly education by reference to the autonomous senior cohousing case in Goettingen
발행기관
한국노년교육학회
저자명
박성희(Seong-Hie Park)
간행물 정보
『노년교육연구』 Vol. 1 No. 1,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5.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7년 고령사회의 진입을 앞두고 자율적 노년기를 만들어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노인들을 위하여 자신의 결정에 의하여 노후를 보낼 수 있는 노인 자치 코하우징을 소개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유럽의 코하우징 설립 사례를 소개하고, 둘째. 독일 괴팅겐시에서 자치적으로 설립 및 운영되고 있는 노인 자치 코하우징의 사 례를 분석하여 공동 자치 생활 속에 나타난 노인교육의 의의를 찾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인 코하우징 중에서도 거주자들이 스스로 참여에 의 하여 독일 괴팅겐 시의 새로운 노인 자치 코하우징 모델을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4가지로 나타났다. 괴팅겐 시민들이 창출해 낸 노인 자치 코하우징이 다른 코 하우징과 구별되는 것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 코하우징 건립을 위해 학습을 시작한 것, 사회적 자본을 네트워크화한 것, 노인 자치 코하우징 공간을 학습의 공간으로 사용한 것 등이다. 특히 노인 자치 코하우징을 노인을 위한 학습의 공간으로 사용하여, 실천을 통해 학습하며 세대공동체 학습 공간을 제공한 것, 자아존중감과 돌봄 능력을 향상시킨 것, 모두에게 열려있는 사회통합을 지향하는 것, 거주자 간의 갈등과 돌봄을 신속하게 지원하여 노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독일 내에서도 선구자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젊고 건강한 노인들 의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괴팅겐시의 노인 자치 코하우징의 사례처럼 관, 민 의 협동으로 노인의 자기결정권이 보장될 수 있는 주거형태가 활성화되기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Due to the fact that South Korea will become an ageing society in 2017, this study presents a senior cohousing concept “Self-Determination”from Goettingen in Germany.Firstly, the cohousing concept will be explained; secondly, through analyzing the case of senior cohousing in Goettingen the significance of elderly education will be examined. The analysis of this study reveals the following points: The seniors in Goettingen have given up regular life concept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accomplished an autonomous cohousing concept. They started to learn to build a community by practicing and started to use social capital for networking and building a place for communal living. The elderly education progress at this place reveals then again following points, with regar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and its significance. Senior cohousing offers a space for education and reduces the gap between generations. Senior cohousing also enhances the self-esteem of the residents and their ability to care for each other and consequently aims for social integration. Arising conflicts between residents can be solved and reduced through supervision, so that in result, the quality of life of aging people can be improved immensely.

목차

I. 서론
III. 독일 괴팅겐시 노인 자치 코하우징 운영 사례
III. 독일 괴팅겐시 노인 자치 코하우징 운영 사례
Ⅳ. 노인 자치 코하우징과 노인교육의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희(Seong-Hie Park). (2015).독일 괴팅겐시 노인 자치 코하우징 사례와 노인교육의 의의. 노년교육연구, 1 (1), 1-19

MLA

박성희(Seong-Hie Park). "독일 괴팅겐시 노인 자치 코하우징 사례와 노인교육의 의의." 노년교육연구, 1.1(2015):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