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가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47
- 영문명
- Effects of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of Middle-Aged Women on Subjective Recognition of Life Quality
- 발행기관
- 한국노년교육학회
- 저자명
- 안은미(An, Eun-mi) 허정무(Hurh, Jeong-moo)
- 간행물 정보
- 『노년교육연구』 Vol. 1 No. 1, 91~1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가 그들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제고를 위한 여성 평생학습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평생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40세 부터 59세 까지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영향을 미 치는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이며, 개인배경특 성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를 거쳐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으로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요인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였으며, 그 다음으로 는 평생학습 만족도였다. 개인배경특성요인은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관련요인의 간접적 인 영향 중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을 설명하는데 가장 비중이 큰 경로는 ‘개인배경특 성 → 평생학습 참여동기 →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경로였으므로, 개인 배경특성 보다는 평생학습 참여동기 및 평생학습 만족도가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을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 성대상 평생교육기관에서는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가 중년여성들의 개 인배경특성변인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고객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을 대상 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평생교육기관들은 학습지향적이고 활동지향적인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부여해주고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by searching for them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impact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middle-aged woman, was presen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women's lifelong learn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on the basis of subjective results. This study will vary by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lifelong learning in a middle-aged woman, was determined by a process comprising causing the overload of interaction are influenced by these three factors. Extrac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s subjective factors on the basis of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l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was verified. The findings from the age of 40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survey questionnaire appeared to target the middle-aged woman of 59 years results. First, most important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subjective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motivation,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lifelong learning through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motivation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indirectly affect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found that to give. This was the biggest impact on the lives of middle-aged women subjective factors directly affect lifelong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followed by life-long learning experience. Showed that a larger influence of indirect rather than direct effects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 factor. Second, to describ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indirect effects of relevant factors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the proportion of large path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 subjective quality of life’of middle-aged women' path. Because it wa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than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ased on the findings. First, need to run a program to develop a customized strategy and may consider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differently motivated individu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women target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is effort is being supported when such involvement leading to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and enhance the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level of middle-aged female students as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ifelong learning may increase. Second, it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by the practice education program targeting middle-aged women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upport the positive strategies that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riented and activity-oriented learning grant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middle-aged women.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와 삶의 질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