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of Cultural Tourism Attraction Attributes, Resources Interpretation and Tourist Satisfaction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김계섭 안윤지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19권 제1호, 247~2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s of cultural tourism attraction attributes, resources interpretation and tourist satisfaction. In this context, research problems are raised as follow : First, to formulate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cultural tourism attraction attributes and resources interpretation and how to be developed the variables. Seco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tourism attraction attributes and resources interpretation divided into the contents, media and method. Third, to identify the effects on the tourist satisfaction of the cultural tourism attraction attributes and resources interpretation. The model of this study is assessed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and SPSS program with to demonstratively analyze its factors, regression and variance. The research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tourism attraction attributes and resources interpretation is correlative (hypothesis 5), and they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ourist positively(hypothesis 1, 2, 3, 4); especially, the attraction attributes and contents of the interpretation are effective on the media, the media on the method, and the method of the interpretation on the tourist satisfaction. That is, the media is fixed up by what the attraction attributes and the contents of interpretation are. And the media and method can produce the mos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tourist by having them understand lots of valuable meaning of the historical, cultural attraction attributes. Therefore, considering this result, we need to make various programs of the interpretation which can motivate tourists to see something new and more. Also, this study has limitation of lack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is theme, survey period, regional limitation. More extensive empirical researches are needed continuousl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조사방법
Ⅳ. 실증분석과 결과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ERVICE MANAGEMENT PRACTICES OF CHAIN HOTELS AND INDEPENDENT HOTELS
- 호텔직원의 역할모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古都의 역사적 경관 정비에 관한 연구
- 에도시대 여성여행의 특성연구
- ZMET를 이용한 호텔의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국내 크루즈시장개발에 관한 연구
- 호텔산업의 재무현황 및 제조원가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내국인과 일본인의 호텔선택속성에 관한 중요도 비교 연구
-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치평가 모형 정립: 퍼지논리 적용
- 카지노업체 종사원의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 호텔 식음료 종사원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조직지원,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만족과의 관계
- 관광호텔 기업의 지식경영시스템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스키장 안전사고의 원인규명과 사전관리 방안에 관한연구
- 문화관광축제 참가업체의 서비스 특성 비교 분석
- 항공사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바운드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정보시스템 가치평가: 퍼지수 적용
- 문화관광자원의 매력속성, 자원해설, 관광만족간의 영향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지역축제의 민족 정체성 담론, 지방소멸에 대응할 수 있나: 명랑대첩축제에 대한 미디어 보도를 중심으로
- 관광 매개자의 지역 인구유입 역할에 관한 근거이론적 고찰
- 야간관광은 소멸위기 지방 소도시의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이 될 수 있는가?: 경북 성주군 사례 심층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