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emale Tourism During Japan's Edo Period (1603-1868) - Accounts from the Travel Diaries of Edo Japan's Female Travelers -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박주옥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19권 제1호, 191~20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lthough travel did exist in ancient Japan, it is difficult to classify it as actual tourism because of the great amount of restrictions placed on travel. Most travel was limited only to official matters. Nobles only traveled on official business, while commoners only traveled on official state-matters such as wars. In the middle-ages Japan's nobility began to travel not only for official business but also for leisure thus creating a very active travel environment. In addition, travel among the common-class also became more widespread during the Edo Period. During this time travel was not as free or simple for women as it is today. Most historians feel that during the Edo Period factors such as feudalism, strict social hierarchies, and Japan's patriarchal society combined to suppress the social status of women. However, the discovery of numerous travel diaries written by women as they traveled throughout Japan illustrates not only that travel was possible for women, it proves that it indeed occurred. Through a careful analysis of these travel diaries,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concept of travel, methods of travel (ie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regional destinations, and governmental policies affecting travel. The emergence of literature and of Confucian philosophy instilled in women the desire to further their learning and their experience through travel. While on these enlightening travels, many women kept accounts of their experiences in the form of travel diaries. While history books can only report the history of established institutions and formalities, these travel diaries can record a much greater cross section of life among the general populous. Because these travel diaries were written while on the road, and differ greatly from diaries written at home, they are excellent examples of Japanese travel modes of the perio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에도시대의 여행형태
Ⅲ. 에도시대 여성여행의 특성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ERVICE MANAGEMENT PRACTICES OF CHAIN HOTELS AND INDEPENDENT HOTELS
- 호텔직원의 역할모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古都의 역사적 경관 정비에 관한 연구
- 에도시대 여성여행의 특성연구
- ZMET를 이용한 호텔의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국내 크루즈시장개발에 관한 연구
- 호텔산업의 재무현황 및 제조원가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내국인과 일본인의 호텔선택속성에 관한 중요도 비교 연구
-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치평가 모형 정립: 퍼지논리 적용
- 카지노업체 종사원의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 호텔 식음료 종사원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조직지원,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만족과의 관계
- 관광호텔 기업의 지식경영시스템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스키장 안전사고의 원인규명과 사전관리 방안에 관한연구
- 문화관광축제 참가업체의 서비스 특성 비교 분석
- 항공사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바운드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정보시스템 가치평가: 퍼지수 적용
- 문화관광자원의 매력속성, 자원해설, 관광만족간의 영향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지역축제의 민족 정체성 담론, 지방소멸에 대응할 수 있나: 명랑대첩축제에 대한 미디어 보도를 중심으로
- 관광 매개자의 지역 인구유입 역할에 관한 근거이론적 고찰
- 야간관광은 소멸위기 지방 소도시의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이 될 수 있는가?: 경북 성주군 사례 심층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