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悉曇字記』의 第18章 孤合之文 연구
이용수 73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xt of Solitary Union in the Record of Siddhaṃ Characters, Chapter 18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저자명
- 강대현(Kang, Dae-hyun)
- 간행물 정보
- 『불교학연구』제45호, 241~26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범자를 학습하기 위해서 그 기본 음운인 摩多와 體文, 그리고 그들의 결합원리 등에 관한 일정의 형식적 틀을 이른바 悉曇章이라고 하는데, 정영사 혜원, 현장삼장의12장 등과는 달리 『悉曇字記』는 총 18章의 실담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18장은, 『실담자기』의 전체적인 구성상의 특징인, 각각의 장마다 상단과 하단으로 나뉘어져 있다. 상단에서는 실담범자의 마다와 체문, 그리고 이들의 이론적 결합원리를 개괄적으로 기술하고 있고, 하단에서는 상단에서 언급한 내용에 대한 보충과 실질
적으로 생성되는 글자의 예를 드는 방식으로, 상단보다는 하단에서 좀 더 자세하게기술되어 있다. 이 중에서 初章[제1장]으로부터 제17장까지는 비교적 일반적인 결합원리를 통하여 생성될 수 있는 글자의 수를 명기하고 있지만, 이 책의 제18장에 해당
되는 이른바 孤合之文은, 이전의 제17장까지의 내용과는 달리 마다와 체문의 결합원리를 벗어났거나 예외적인 실담범자의 용례를 모은 장이라고 하여 孤合章이라고도한다. 이러한 『실담자기』제18장 고합지문에서는 「1. 같은 글자가 중복된 경우의 발
음에 대한 예」로부터 「15. 半體의 모양이 변형되어진 예」까지 총 15가지의 예외적인 용례가 나타나고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눈여겨 볼 항목은, 「8. 마다가 중복된 글자의 발음에 대한 예」와 「14. 印文[印鑑] 室梨[śṛī]의 용례」이다. 8항은 部林과 齒林
등의 중복된 마다의 발음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고, 14항은 [śrī]에 대한 연원 및 정확한 표기에 대해서 기술되고 있으므로, 이들 8항과 14항은 물론 나머지 항에서도 현재 진언에서 쓰고 있는 실담범자에 대한 정확한 근거를 파악할 수 있는 유익한 자
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Siddhavastu’ refers to the formative framework that explains the basic Sanskrit vowels [Mātṛkā], consonants [vyañjana] and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them to create a character. The Record of Siddhaṃ Characters is composed of 18 chapters, unlike 12 chapters of Siddhavastu by Huiyuan from Jinyinsi Temple or by Xuanzang. Each chapter divides into two parts, upper and lower, which is the noteworthy feature of this book. The upper part provides the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he basic Sanskrit vowels [Mātṛkā], consonants [vyañjana] and the
theoretical composition principle of them, while the lower part presents more detailed information and the examples of characters created by the information.
Chapters from 1 to 17 give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created by relatively general principles. On the contrary, Chapter 18 shows the exceptional combination of the vowels and consonants, hence it is called Chapter of Solitary Union. This chapter includes 15 articles for exceptional cases from 「1. Examples of the pronunciation of the duplicate letters」 and to 「15. Examples of a deformed shape of half-characters」. Among these, 「8. Examples of the pronunciation of the duplicate vowels」 and 「14. Usages of legal seal [ṣṛī] are especially important. Article 8
describes the pronunciation of characters which have duplicate vowels, such as [bhrūṃ]· [chrūṃ], and Article 14 presents the origin and correct representation of [ṣrī]. With these two articles along with the others, The Record of Siddhaṃ Characters seems to be a valuable resource in understanding the exact formation of Siddhaṃ Characters now used in the mantras.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悉曇章의 여러 형식
III. 『실담자기』제18장 상․하단 비교
IV. 『실담자기』 제18장 고합지문 분석
V.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Zhi gnas dpe ris
- 태현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의 불신론(佛身論) 분석
- 무아․ 윤회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무착의 「섭대승론」에 나타난 외종자설
- 여래장사상과 유식사상의 전통적 이분법에 관한 제문제
- 조선시대 불교사 시기구분 시론
- 변행심소 촉(觸)에 대한 규기의 해석
- 『悉曇字記』의 第18章 孤合之文 연구
- 유식학의 진여(眞如)와 라캉의 실재(réel)에 관한 비교연구
- 起信論과 起信論 註釋書의 阿梨耶識觀
- 만문(滿文)『화엄경속입법계품(華嚴經續入法界品)』에 관한 연구
- 인용경전에 근거한 『釋摩訶衍論』의 저술시기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열반의 초월성 이미지와 아라한의 윤리에 대한 고찰 - 뗏목의 비유를 중심으로
- 이기영 선생의 불교연구와 한국 현대불교학
- 산스크리트 희곡의 플롯에 대한 일고찰 - 『나티야 샤스트라』의 이론과 희곡 『나가난다』의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