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起信論과 起信論 註釋書의 阿梨耶識觀
이용수 448
- 영문명
- Views of the Ālaya-vijñāna (阿梨耶識) in the Qixin-lun (起信論) and its Commentaries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저자명
- 석길암(SEOK, Gil-Am)
- 간행물 정보
- 『불교학연구』제45호, 109~13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논자가 생각할 때, 「기신론」의 아리야식을 검토함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기신론」의 아리야식연기를 설하는가 아니면 여래장연기를 설하는가? 「기신론」의 논자가 설하는 것은 아리야식연기이다. 다만 그 아리야식이 가지고 있는 ‘眞妄和合識’의 성격은 문제가 된다. 여래장연기라면 體性의 관점을 강조하는 것이
라고 생각되고, 아리야식연기라면 相用의 관점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논자는 분석을 통해 「기신론」의 생멸문 제1절의 아리야식은 相用에 초점을 두고 성격을 규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둘째, 「기신론」에서 설해지는 아리야식의 개념태는 「십지경론」과 「능가경」을 근저로 하는 지론종 전통의 연장선에 있는 것일까, 아니면 「섭대승론」전통의 연장선에 있는 것일까? 논자는 「기신론」의 중생심 그리고 아리야식을 唯識 三性說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주장하였다. 기신론안에서는 一心法으로서의 衆生心과 一心이 혼동되어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도, 개념이 사용되는 영역의 층위에 따른 사유구조상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볼 때, 생멸문 제1절의 내용을 여래장연기라고 읽는 것은 「기신론」이 의도하는 것과 다른 독법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논자가 그런 점들에 근거하여 「기신론」의 아리야식 더 나아가 중생심을 유식 삼성설의 依他性으로 읽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기신론」의 아리야식에 대한 주석서들의 해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초기의 주석서인 杏雨書屋本과 그것의 영향을 받고 있는 「담연소」는 「기신론」의 해석에 眞諦譯 유식교설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지론종의 영향은 거의 전무하며, 「능가경」은 물론 「승만경」 등의 여래장계 경론을 주석에 채용하지 않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반면 「淨影疏」의 경우는 二門別設의 해석 및 생멸문 제1절의 해석에 「능가경」과 「승만경」 등을 채용하고 있다. 이른바 북지 지론종 교학의 근저에 있는 경론이다. 이것은 「기신론」스스로가 매우 엄밀하게 적용하고 유지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고 생각되는 二門別設에 의해 전개되는 사유구조의 핵심을 배제하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생각된다. 특히 진여문의 체와 생멸문의 체를 동일시함으로서, 진여문을 생멸문에 배속시킨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생멸문 내에서 體[如來藏 혹은 眞如]의 역할이 비대해지면서 아리야식을 유명무실하게 만드는 결과를 낳는다.
海東疏의 경우는, 혜원이나 법장과 동일하게 「능가경」과 「승만경」 등의 여래장계 경론을 채용하면서도 二門別設의 의도를 훼손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주요한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동일한 「능가경」의 경증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그 해석의 관
점은 혜원과 비교하여 상이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동시에 본문에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신유식의 관점을 대폭 채용함으로써 생멸문 내에서 아리야식의 위치를 부각하고 있는 것 역시 주요한 특징이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할 때, 「기신론」의 사상사적 맥락은 적어도 북지 지론종 교학과는 거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것이 논자의 결론이다.
영문 초록
I think that, when examining the Ālaya-vijñāna (阿梨耶識) in the Qixin-lun (起信論), two problems are raised.
The first problem is whether the Qixin-lun tells the Dependent Arising (緣起) of the Ālaya-vijñāna or of the Tathāgata-garbha (如來藏). It is an obvious fact that the Ālaya-vijñāna is told in the Qixin-lun. The problem is its characteristic of the Combined Consciousness of True and False (眞妄和合識). Taking it as the Dependent Arising of the Tathāgata-garbha is stressing the view of the Substance (體性) out of the Three Greatnesses (三大) of the Qixin-lun; taking it as the Dependent Arising of the Ālaya-vijñāna is on the views of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相用). After analyzing the Qixin-lun, I proposed that the term of the Ālaya-vijñāna, which is in the first phrase of the Gate of Arising and Ceasing (生滅門) of the Qixin-lun, must be interpreted on the base of the views of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The second is whether the concept of the Ālaya-vijñāna in the Qixin-lun is an extension of the Dilun-zong School (地論宗) based on the Shidi-jing-lun (十地經論) and the Lengjia-jing (楞伽經) or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 of the Shedasheng-lun(攝大乘論). I asserted the necessity of approaching the Mind of Sentient Beings (衆生心) and the Ālaya-vijñāna in the Qixin-lun from a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Three Natures (三性) of the Consciousness-Only Buddhism. The Qixin-lun’s accurate and separating use of terms of the One Mind (一心) and the Mind of
Sentient Beings reflects its theoretical intention to use the different terms according to different levels of the concept. In this respect, it does not accord with the Qixin-lun’s intention to take the first phrase of the Gate of Arising and Ceasing of the Qixin-lun, as the Dependent Arising of the Tathāgata-garbha. From these facts, I proposed that it was proper to understand the Ālaya-vijñāna, or, further, the Mind of Sentient Beings as the Nature of Dependence on Others (依他性) of the theory of Three Natures of the Consciousness-Only Buddhism.
After analysing the Commentaries’ interpretations on the Ālaya-vijñāna in the Qixin-lun, I made a result as follows:
Both the Tanyan (曇延)’s Commentary and its influencer, the Kyousho-oku Text (杏雨書屋本), or the oldest commentary in existence, interpret the Qixin-lun with adopting the theories of the Consciousness-Only Buddhist texts translated by Zhendi (眞諦). They are scarcely affected by the Dilun-zong School, nor do they adopt texts of the Tathāgata-garbha Buddhism like the Lengjia-jing or the Shengman-jing (勝鬘經).
On the other hand, the Jingying (淨影)’s Commentary adopts the Lengjia-jing and the Shengman-jing, which form the base of the Dilun-zong School’s theories, with interpreting the Two-fold Gate and the first phrase of the Gate of Arising and Ceasing of the Qixin-lun. It causes the result of excluding the core theoretical structure of the Two-fold Gate, I think, which is strictly applied and maintained in the Qixin-lun. Especially, identifying the Substance of the Gate of Suchness as that of the Gate of Arising and Ceasing, the Jingying’s Commentary includes the former
Gate into the latter, which makes the Substance (Tathāgata-garbha or Suchness)play a larger role in the latter and produces result of the nominal Ālaya-vijñāna.
The Wonhyo (元曉)’s Commentary, while adopting the Lengjia-jing and the Shengman-jing like the Fazang (法藏)’s Commentary or the Jingying’s, does not damage the Qixin-lun’s intention to establish the Two-fold Gate. As a result, while adopting the same part of the Lengjia-jing, the Wonhyo’s Commentary has a different view of interpreting from the Jingying’s. Also, as drastically adopting views of the Neo Consciousness-Only Buddhism, the Wonhyo’s
목차
I. 問題의 所在
II. 기신론의 아리야식관
III. 기신론 주석서의 아리야식관
I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Zhi gnas dpe ris
- 태현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의 불신론(佛身論) 분석
- 무아․ 윤회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무착의 「섭대승론」에 나타난 외종자설
- 여래장사상과 유식사상의 전통적 이분법에 관한 제문제
- 조선시대 불교사 시기구분 시론
- 변행심소 촉(觸)에 대한 규기의 해석
- 『悉曇字記』의 第18章 孤合之文 연구
- 유식학의 진여(眞如)와 라캉의 실재(réel)에 관한 비교연구
- 起信論과 起信論 註釋書의 阿梨耶識觀
- 만문(滿文)『화엄경속입법계품(華嚴經續入法界品)』에 관한 연구
- 인용경전에 근거한 『釋摩訶衍論』의 저술시기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열반의 초월성 이미지와 아라한의 윤리에 대한 고찰 - 뗏목의 비유를 중심으로
- 이기영 선생의 불교연구와 한국 현대불교학
- 산스크리트 희곡의 플롯에 대한 일고찰 - 『나티야 샤스트라』의 이론과 희곡 『나가난다』의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