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변행심소 촉(觸)에 대한 규기의 해석
이용수 69
- 영문명
- A Study of Kuiji[窺基]’s Interpretations on the Universal Mental Activity Sparśa[觸]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저자명
- 박인성(Park, In-Sung)
- 간행물 정보
- 『불교학연구』제45호, 59~8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호법은『성유식론』의 제8아뢰야식을 다루는 한 대목에서 변행심소 촉(觸)을 “삼화이고 변이를 분별하는 것이니 심과 심소를 경에 촉대하게 하는 것을 체성으로 하고, 수․상․ 사 등의 의지처가 되어주는 것을 작업으로 한다.”고 정의하고서 이를 삼
화, 변이, 변이의 분별 순으로 해명하고 있다. 규기는 이 호법의 정의와 해명을 따라가면서 촉의 체성을 주석하는데, 이때 삼화의 변이보다 ‘변이의 분별’에 주목하면서 주석했기에, 심과 심소들을 한 대상[境]에 촉대(觸對)하게 한다는, 즉 모든 심과 심소
들을 이산(離散)하지 않게 해서 한 대상에 집결하게 한다는 체성에 대해 주석한 것은 아니었다. 호법은 근과 경과 식 셋이 화합하는 위(位)에 각각 촉을 비롯한 심소들을셋에 수순해서 발생하게 하는 공능이 있다고 하고 이를 변이라 하고 있는데, 규기는촉을 비롯한 심소들을 발생하게 하는 이 변이의 공능보다 수(受)를 비롯한 심소들을 발생하게 한다는 ‘변이의 분별’에 주목함으로써 체성을 설명해야 할 자리에서 작업을 설명하게 된 것이다. 촉이 심과 심소들을 다같이 동일한 대상에 촉대하게 한다는본래적 기능인 체성을 풀이하려면, 변이에 중점을 두고 설명해야 한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첫째 삼화의 수순함, 둘째 촉의 인(因)과 과(果), 셋째 근과 경과 식 셋이 모두 각각 촉을 비롯한 심소들을 발생하게 한다는 변이의 공능, 넷째 변이의 분별에서 변이가 핵심적인 구성계기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변이가 심과 심소들을 동일한 대상으로 향하게 하는 세력을 갖는다고 보고, 규기의 풀이를 바로잡았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Dharmapāla[護法]’s definition of Sparśa[觸], its primary function is to combine three things―the sense organ, the object, and the consciousness―, and discriminate the variations, so direct the mind[心] and its associates[心所] toward the identical object. Its secondary function is to serve as a support for feeling, conceptualization, volition, etc.
When Kuiji[窺基] gives an account of the primary function of Sparśa, he takes note of discrimination of the variations of the three rather than the variations themselves. It is just to give an account of the secondary function of Sparśa that
serves as a support for feeling, conceptualization, volition, etc. If he wished to give an account of the primary function of Sparśa that directs the mind and its associates to the identical object, he should have paid attention to the variations of the three.
So in this paper I am trying to elucidate the feature of the variations involved in the conformities of the three, Sparśa’s cause and effect of the three, the potentials of the variations of the three, and the discrimination of the variations, in order to claim that the variations of the three direct the mind and its associates to the identical object.
목차
I. 들어가기
II. 촉의 체성과 작업
III. 삼화와 촉
IV. 변이(變異)와 ‘변이의 분별’
IV. 맺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Zhi gnas dpe ris
- 태현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의 불신론(佛身論) 분석
- 무아․ 윤회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무착의 「섭대승론」에 나타난 외종자설
- 여래장사상과 유식사상의 전통적 이분법에 관한 제문제
- 조선시대 불교사 시기구분 시론
- 변행심소 촉(觸)에 대한 규기의 해석
- 『悉曇字記』의 第18章 孤合之文 연구
- 유식학의 진여(眞如)와 라캉의 실재(réel)에 관한 비교연구
- 起信論과 起信論 註釋書의 阿梨耶識觀
- 만문(滿文)『화엄경속입법계품(華嚴經續入法界品)』에 관한 연구
- 인용경전에 근거한 『釋摩訶衍論』의 저술시기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열반의 초월성 이미지와 아라한의 윤리에 대한 고찰 - 뗏목의 비유를 중심으로
- 이기영 선생의 불교연구와 한국 현대불교학
- 산스크리트 희곡의 플롯에 대한 일고찰 - 『나티야 샤스트라』의 이론과 희곡 『나가난다』의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