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of Sympathetic Ophthalmia due to Corneal Perforation in a Patient with Meningiom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성윤미 정수경 김규섭 양석우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2, 275~27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지속적으로 재발하는 접형골 뇌수막종 환자에서 심한 안구돌출을 동반한 노출성 각막염으로 인해 각막 천공이 발생하여 교감성안염까지 이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수년 전부터 좌측 거대 접형골 뇌수막종으로 인해 좌측 안구돌출이 심해지는 34세 여자환자가 여러 차례에 걸친 제거술과 방사선치료에도 불구하고 노출성 각막염에 의한 각막천공이 발생하였다. 천공부위로 홍채 탈출이 보여 안구적출을 계획하던 중 양안의 전방 염증반응과 반대쪽 눈에서 각막후면침착물, 삼출성 망막박리와 망막의 다발성 육아종성 결절들이 관찰되었다. 교감성 안염 의심하에 좌안 안구적출과 종양 용적 축소술을 시행한 후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였다. 5개월 후 우안의 전방 염증은 없으며, 시신경 염증 및 삼출성 망막박리 소견도 회복을 보였다.
결론: 악성 접형골 뇌수막종에 의해 좌안 안구돌출이 지속되어 발생한 노출성각막염이 보전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각막 천공에 이르렀으며, 이런 경우 반대안까지 침범하는 교감성 안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유의하며 치료해야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scribe a case of sympathetic ophthalmia due to corneal perforation caused by exposure keratitis in a patient with recurrent sphenoid wing meningioma.
Case summary: A 34-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proptosis in her left eye caused by left sphenoid greater wing meningioma despite tumor debulking surgery and radiation treatment. The cornea was perforated with prolapsed iris due to exposure keratitis, thus enucleation of the left eye was performed. After 2 weeks, an inflammatory reaction occurred in both eyes, keratic precipitates on corneal endothelium,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and multiple granulomatous nodules on the right eye retina.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sympathetic ophthalmia, thus enucleation of the left eye and debulking of the tumor were performed followed by a high-dose intravenous steroid therapy. At 5 months postoperatively, slit lamp biomicroscope showed no chamber reaction; improved disc swelling and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in the right eye were observed.
Conclusions: Despite conservative treatment for exposure keratitis due to proptosis caused by malignant sphenoid meningioma,corneal perforation can develop. Because sympathetic ophthalmia can occur, the other eye should be monitor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른 재질의 비구면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이후,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 시행률의 비교
- 아메드밸브삽입술 중 발생한 모양체해리 틈에 의한 저안압증 1예
- 미숙아 병력을 가진 외사시 환아의 임상양상 및 수술 결과
- 안와골절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복시와 안구회선의 비교
- 만성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광역학치료와 유리체강내 라니비주맙 주입술 전후의 맥락막 과투과성 변화에 대한 정량적 비교
- 이상두위를 보이는 눈떨림 환자의 수술 후 장기간 임상 양상 및 재발에 관여하는 인자
- 굴절교정술 후 재수술의 임상성적
- 병행 하사근 약화술이 간헐외사시의 외직근 후전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약시에 대한 매일 가림치료와 격일 가림치료의 효과 비교
- 자세변동에 따른 안압의 변화와 안구박동크기와의 관계
- 가림치료 중단 후에도 회복되지 않은 우세안의 가림원인약시 1예
- 결막 신경종에 의해 조기 진단된 다발성 내분비 종양 1예
- 건성안에서 사이클로스포린 0.05% 점안 후 눈물 삼투압의 변화
- 뇌수막종에 의한 각막 천공 후 생긴 교감성 안염 1예
- 돼지 눈 실험 모델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수직 및 수평 측정값의 정확성과 반복성 비교
-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안내염의 시력 결과에 대한 내경계막제거술의 영향
- 히알우론산나트륨 점안액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독성 각막염 1예
- 얼굴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한 안와 용적의 측정
- 과잉 알코올 섭취 환자에서 발생한 자발성 맥락막상강 대량 출혈 1예
- 토수플록사신 0.3% 점안약의 안구표면상재균에 대한 균음성률과 전방내 농도에 관한 연구결과
- 무안구증 환자에서 안와 삽입물 삽입과 진피-지방 이식 동시 수술의 결과
- 특발성망막앞막과 황반원공 환자의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 동시수술에서 굴절값의 예측정확도
- 필러 주입 후 발생한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뇌경색과 안동맥폐쇄 1예
- 가시아메바각막염의 복합 치료약제에 의한 각막독성 2예
- 얼음검사 양성을 보인 비-눈근육무력증 2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서평] 정책사와 경영사를 아우르는 최초의 일제시기 사설철도 연구서 (林采成, 『帝国と私鉄: 朝鮮開発をめぐる総督府と日本資本)』
- 일제 헌병에 피탈된 의병자료의 환수
- 일제하 조선인의 「아동학대방지령」 요구와 식민 권력의 대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