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안내염의 시력 결과에 대한 내경계막제거술의 영향
이용수 7
- 영문명
- Effect of Internal Limiting Membrane Peeling in Visual Outcome of Endophthalmitis after Pars Plana Vitrectom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유현 김유철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2, 213~21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안내염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및 시력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유리체절제술 후 안내염이 발생한 9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첫 유리체절제술 시행 전 시력, 안내염으로 치료 전의 시력, 최종 시력, 당뇨 유무, 유리체절제술 시 사용한 기구의 직경, 백내장 수술 동시 진행 여부,내경계막제거술 시행여부, 안내염으로 치료를 시작한 시기, 전방축농 여부, 균 동정 유무 및 종류가 최종 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 9안 모두에서 유리체강내 항생제 주사를 시행하였고, 7안에서는 추가적인 유리체절제술을 함께 시행하였다. 균은 6안에서 동정되었고 5안이 표피포도상 구균, 1안은 대장균이었다. 첫 유리체절제술 시행 전 시력, 당뇨 유무, 유리체절제술 시 사용한 기구의 직경,백내장 수술 동시 진행 여부, 안내염으로 치료를 시작한 시기, 전방축농 여부, 균 동정 유무 및 종류는 최종 시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안내염으로 치료 전의 시력이 최종 시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첫 유리체절제술 시 내경계막을 함께 제거한 경우 최종 시력이 낮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2).
결론: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감염성 안내염인 경우 시력 예후가 좋지 않으며 초기 시력이 좋을수록 최종 시력이 유의하게 좋다.첫 유리체절제술 시 내경계막을 제거한 경우 최종 시력이 유의하게 낮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course and prognostic factors of visual acuity in post-vitrectomy endophthalmitis.
Methods: A total of 9 patients diagnosed with post-vitrectomy endophthalmitis between 2004 and 2013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final visual acuity, the following was investigated: best corrected visual acuity(BCVA) before first vitrectomy, BCVA at presentation, presence of diabetes mellitus, type of port used on first pars plana vitrectomy,whether cataract operation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whether removal of internal limiting membrane was performed at first pars plana vitrectomy, interval period from initial vitrectomy to treatment of endophthalmitis, presence of hypopyon,whether culture was proven, and type of organism isolated.
Results: All 9 eyes received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s and additional pars plana vitrectomy was performed in 7 eyes. Six eyes were culture-proven. Staphylococcus epidermidis was cultured from 5 eyes and Escherichia coli was cultured from 1 eye.BCVA before first vitrectomy, presence of diabetes mellitus, type of port used on first pars plana vitrectomy, whether cataract operation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interval from initial vitrectomy to treatment of endophthalmitis, whether culture proven,and type of organism isolated did not affect final visual acuity. BCVA at presentation was an important factor for final visual acuity. Removal of internal limiting membrane at initial vitrectomy was a poor prognostic factor in final visual acuity (p = 0.02).
Conclusions: Endophthalmitis after pars plana vitrectomy showed very poor final visual acuity and better BCVA at presentation resulted in better final visual acuity. Poor visual acuity was observed in patients who had the internal limiting membrane removed at first vitrectom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메드밸브삽입술 중 발생한 모양체해리 틈에 의한 저안압증 1예
- 만성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광역학치료와 유리체강내 라니비주맙 주입술 전후의 맥락막 과투과성 변화에 대한 정량적 비교
- 다른 재질의 비구면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이후,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 시행률의 비교
- 안와골절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복시와 안구회선의 비교
- 얼음검사 양성을 보인 비-눈근육무력증 2예
- 히알우론산나트륨 점안액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독성 각막염 1예
- 과잉 알코올 섭취 환자에서 발생한 자발성 맥락막상강 대량 출혈 1예
- 이상두위를 보이는 눈떨림 환자의 수술 후 장기간 임상 양상 및 재발에 관여하는 인자
- 굴절교정술 후 재수술의 임상성적
- 무안구증 환자에서 안와 삽입물 삽입과 진피-지방 이식 동시 수술의 결과
- 병행 하사근 약화술이 간헐외사시의 외직근 후전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안내염의 시력 결과에 대한 내경계막제거술의 영향
- 특발성망막앞막과 황반원공 환자의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 동시수술에서 굴절값의 예측정확도
- 자세변동에 따른 안압의 변화와 안구박동크기와의 관계
- 얼굴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한 안와 용적의 측정
- 약시에 대한 매일 가림치료와 격일 가림치료의 효과 비교
- 뇌수막종에 의한 각막 천공 후 생긴 교감성 안염 1예
- 미숙아 병력을 가진 외사시 환아의 임상양상 및 수술 결과
- 토수플록사신 0.3% 점안약의 안구표면상재균에 대한 균음성률과 전방내 농도에 관한 연구결과
- 가시아메바각막염의 복합 치료약제에 의한 각막독성 2예
- 필러 주입 후 발생한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뇌경색과 안동맥폐쇄 1예
- 돼지 눈 실험 모델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수직 및 수평 측정값의 정확성과 반복성 비교
- 가림치료 중단 후에도 회복되지 않은 우세안의 가림원인약시 1예
- 결막 신경종에 의해 조기 진단된 다발성 내분비 종양 1예
- 건성안에서 사이클로스포린 0.05% 점안 후 눈물 삼투압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