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돼지 눈 실험 모델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수직 및 수평 측정값의 정확성과 반복성 비교
이용수 17
- 영문명
-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Icare PRO in Enucleated Porcine Eyes - Upright and Horizontal Position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가영 유영철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2, 228~23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안압을 조절할 수 있는 돼지 눈 실험모델에서 Icare PRO로 수직 및 수평자세에서 측정한 안압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전방에 30게이지 바늘을 삽입한 후 공기를 채워 안압을 조절하는 실험모델을 만들었다. 총 5안에서 설정안압을 70mmHg에서 10 mmHg까지 조정하면서 수직 및 수평자세에서 안압을 측정하였다. 두 자세에서 설정안압 구간별로 측정된 값으로 상관분석, 평균분석, Bland & Altman 분석을 하였고, 급내상관계수를 계산하였다.
결과: 두 자세에서 측정한 값 모두 설정안압과 뚜렷한 상관관계(각각 r=0.992와 0.985; p<0.001)를 보였으나 모든 측정값은 설정안압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Bland & Altman 도표는 각 자세에서 측정된 값과 설정안압 사이의 동일성을 보여주었다. 두 자세에서 측정한 안압 사이에는 Bland & Altman 분석에서는 동일성을 보였으나, 윌콕슨부호순위 검정에서는 설정안압 50 mmHg 이상에서 평균이유의하게 다르게 나왔다. 수직 자세에서 설정안압 구간별로 계산한 급내상관계수는 0.911에서 0.984였으나, 수평자세에서는 0.707에서 0.914의 범위를 보였다.
결론: 돼지 눈에서 Icare PRO로 수직 및 수평자세에서 측정한 안압은 설정안압과 좋은 상관관계를 보여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하지만 두 자세의 모든 측정값은 설정안압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이런 경향은 설정안압이 높을수록, 수평자세일수록 더 뚜렷하였다.리바운드 안압계는 수평자세에서 측정할 때 더 낮은 검사자내 신뢰도를 보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intraocular pressure (IOP) measurements in enucleated porcine eyes using the Icare PRO in the upright and horizontal positions.
Methods: We designed an enucleated porcine eye model whose anterior chamber was cannulated with a 30-gauge needle, connected in parallel to a pneumatic pressure device. The reference pressure was manipulated by changing the air pressure from 70 to 10 mm Hg at 10 mm Hg intervals, and the IOP of porcine eyes was measured with the Icare PRO at each pressure. Correlation analysis, comparison using the Bland-Altman plo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ccuracy of IOP measurement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intra-observer variability in the upright and horizontal positions, respectively.
Results: The IOP value in both upright and horizontal positions was well correlated with the reference pressure (r = 0.992 and 0.985, respectively). The Bland-Altman plot showed good agreement between the two positions. However, all IOP values in both positions were lower than the reference pressures. The IOP values in the horizontal posi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upright position at the a reference pressure of 50 mm Hg or greater. Values of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ranged from 0.911 to 0.984 when measured in the upright position and from 0.707 to 0.914 in the horizontal position.
Conclusions: IOP measurements of Icare PRO in porcine eyes were remarkably lower than reference pressures controlled by the pneumatic method even though they showed a good correlation with reference values. The higher was the reference pressure,
the greater was the degree of underestimation of IOP measurement in both positions. This trend was more pronounced in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reliability of IOP measurements was also lower than that in the upright posi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메드밸브삽입술 중 발생한 모양체해리 틈에 의한 저안압증 1예
- 만성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광역학치료와 유리체강내 라니비주맙 주입술 전후의 맥락막 과투과성 변화에 대한 정량적 비교
- 다른 재질의 비구면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이후,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 시행률의 비교
- 안와골절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복시와 안구회선의 비교
- 얼음검사 양성을 보인 비-눈근육무력증 2예
- 히알우론산나트륨 점안액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독성 각막염 1예
- 과잉 알코올 섭취 환자에서 발생한 자발성 맥락막상강 대량 출혈 1예
- 이상두위를 보이는 눈떨림 환자의 수술 후 장기간 임상 양상 및 재발에 관여하는 인자
- 굴절교정술 후 재수술의 임상성적
- 무안구증 환자에서 안와 삽입물 삽입과 진피-지방 이식 동시 수술의 결과
- 병행 하사근 약화술이 간헐외사시의 외직근 후전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안내염의 시력 결과에 대한 내경계막제거술의 영향
- 특발성망막앞막과 황반원공 환자의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 동시수술에서 굴절값의 예측정확도
- 자세변동에 따른 안압의 변화와 안구박동크기와의 관계
- 얼굴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한 안와 용적의 측정
- 약시에 대한 매일 가림치료와 격일 가림치료의 효과 비교
- 뇌수막종에 의한 각막 천공 후 생긴 교감성 안염 1예
- 미숙아 병력을 가진 외사시 환아의 임상양상 및 수술 결과
- 토수플록사신 0.3% 점안약의 안구표면상재균에 대한 균음성률과 전방내 농도에 관한 연구결과
- 가시아메바각막염의 복합 치료약제에 의한 각막독성 2예
- 필러 주입 후 발생한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뇌경색과 안동맥폐쇄 1예
- 돼지 눈 실험 모델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수직 및 수평 측정값의 정확성과 반복성 비교
- 가림치료 중단 후에도 회복되지 않은 우세안의 가림원인약시 1예
- 결막 신경종에 의해 조기 진단된 다발성 내분비 종양 1예
- 건성안에서 사이클로스포린 0.05% 점안 후 눈물 삼투압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