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asurement of Orbital Volume from Facial CT Scans Using a Semi-Automatic Computer Program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최정한 박인기 최삼진 신재호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2, 168~17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얼굴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의 축영상과 관상영상을 반자동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안와 용적을 측정 및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얼굴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30대 정상 성인 남성 17명, 여성 18명에 대하여, 안와 용적의 측정이 가능한 반자동화프로그램(MATLAB 2009a)을 이용하여 얼굴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의 축영상과 관상영상의 안와 단면적을 각각 측정하였고, 측정 단면적을 누적하여 안와 용적을 계산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결과: 안와 용적의 측정 결과, 남성은 축영상에서 우측 26.34 ± 3.09 cm3, 좌측 26.30 ± 3.21 cm3, 관상영상에서 우측 26.58 ±2.76 cm3, 좌측 26.59 ± 2.75 cm3로 측정되었으며, 여성은 축영상에서 우측 23.84 ± 2.29 cm3, 좌측 23.89 ± 2.33 cm3, 관상영상에서 우측 24.06 ± 2.90 cm3, 좌측 24.10 ± 2.82 cm3로 측정되었다. 축영상과 관상영상을 통해 계산한 안와 용적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832, p=0.0001)를 보였고, 안와 용적의 평균값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06).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얼굴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특별한 추가 장치 없이 안와 용적을 측정하는 데에 매우유용한 도구이며, 이 방법을 통해 여러 안질환에서 안와 용적 변화에 대한 추가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measure the orbital volume from facial CT scans using a semi-automatic computer program.
Methods: Axial and coronal slices of 35 facial CT scans were used to measure the orbital volume. The cross-sectional area was determined from each slice using a semi-automated computer program (MATLAB 2009a). Next, the orbital volume was calculated from serial reconstruction of the cross-sections.
Results: The measured value in males was 26.34 ± 3.09 cm3 in the right orbit and 26.30 ± 3.21 cm3 in the left orbit from axial scans, and 26.58 ± 2.76 cm3 in the right orbit and 26.59 ± 2.75 cm3 in the left orbit from coronal scans. In females, the values were 23.84 ± 2.29 cm3 in the right orbit and 23.89 ± 2.33 cm3 in the left orbit from axial scans, and 24.06 ± 2.90 cm3 in the right orbit and 24.10 ± 2.82 cm3 in the left orbit from coronal scans. There was high positive correlation (r = +0.832, p = 0.0001) in measured orbital volume between axial and coronal scans.
Conclusions: The orbital volume measurement from facial CT scans using a semi-automatic computer program is very useful.
This method should prove useful in further studies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orbital volume variation in many ophthalmologic disorder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른 재질의 비구면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이후,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 시행률의 비교
- 아메드밸브삽입술 중 발생한 모양체해리 틈에 의한 저안압증 1예
- 미숙아 병력을 가진 외사시 환아의 임상양상 및 수술 결과
- 안와골절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복시와 안구회선의 비교
- 만성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광역학치료와 유리체강내 라니비주맙 주입술 전후의 맥락막 과투과성 변화에 대한 정량적 비교
- 이상두위를 보이는 눈떨림 환자의 수술 후 장기간 임상 양상 및 재발에 관여하는 인자
- 굴절교정술 후 재수술의 임상성적
- 병행 하사근 약화술이 간헐외사시의 외직근 후전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약시에 대한 매일 가림치료와 격일 가림치료의 효과 비교
- 자세변동에 따른 안압의 변화와 안구박동크기와의 관계
- 가림치료 중단 후에도 회복되지 않은 우세안의 가림원인약시 1예
- 결막 신경종에 의해 조기 진단된 다발성 내분비 종양 1예
- 건성안에서 사이클로스포린 0.05% 점안 후 눈물 삼투압의 변화
- 뇌수막종에 의한 각막 천공 후 생긴 교감성 안염 1예
- 돼지 눈 실험 모델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수직 및 수평 측정값의 정확성과 반복성 비교
-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안내염의 시력 결과에 대한 내경계막제거술의 영향
- 히알우론산나트륨 점안액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독성 각막염 1예
- 얼굴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한 안와 용적의 측정
- 과잉 알코올 섭취 환자에서 발생한 자발성 맥락막상강 대량 출혈 1예
- 토수플록사신 0.3% 점안약의 안구표면상재균에 대한 균음성률과 전방내 농도에 관한 연구결과
- 무안구증 환자에서 안와 삽입물 삽입과 진피-지방 이식 동시 수술의 결과
- 특발성망막앞막과 황반원공 환자의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 동시수술에서 굴절값의 예측정확도
- 필러 주입 후 발생한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뇌경색과 안동맥폐쇄 1예
- 가시아메바각막염의 복합 치료약제에 의한 각막독성 2예
- 얼음검사 양성을 보인 비-눈근육무력증 2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서평] 정책사와 경영사를 아우르는 최초의 일제시기 사설철도 연구서 (林采成, 『帝国と私鉄: 朝鮮開発をめぐる総督府と日本資本)』
- 일제 헌병에 피탈된 의병자료의 환수
- 일제하 조선인의 「아동학대방지령」 요구와 식민 권력의 대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