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지속적으로 재발하는 접형골 뇌수막종 환자에서 심한 안구돌출을 동반한 노출성 각막염으로 인해 각막 천공이 발생하여 교감성안염까지 이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수년 전부터 좌측 거대 접형골 뇌수막종으로 인해 좌측 안구돌출이 심해지는 34세 여자환자가 여러 차례에 걸친 제거술과 방사선치료에도 불구하고 노출성 각막염에 의한 각막천공이 발생하였다. 천공부위로 홍채 탈출이 보여 안구적출을 계획하던 중 양안의 전방 염증반응과 반대쪽 눈에서 각막후면침착물, 삼출성 망막박리와 망막의 다발성 육아종성 결절들이 관찰되었다. 교감성 안염 의심하에 좌안 안구적출과 종양 용적 축소술을 시행한 후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였다. 5개월 후 우안의 전방 염증은 없으며, 시신경 염증 및 삼출성 망막박리 소견도 회복을 보였다.
결론: 악성 접형골 뇌수막종에 의해 좌안 안구돌출이 지속되어 발생한 노출성각막염이 보전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각막 천공에 이르렀으며, 이런 경우 반대안까지 침범하는 교감성 안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유의하며 치료해야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scribe a case of sympathetic ophthalmia due to corneal perforation caused by exposure keratitis in a patient with recurrent sphenoid wing meningioma.
Case summary: A 34-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proptosis in her left eye caused by left sphenoid greater wing meningioma despite tumor debulking surgery and radiation treatment. The cornea was perforated with prolapsed iris due to exposure keratitis, thus enucleation of the left eye was performed. After 2 weeks, an inflammatory reaction occurred in both eyes, keratic precipitates on corneal endothelium,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and multiple granulomatous nodules on the right eye retina.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sympathetic ophthalmia, thus enucleation of the left eye and debulking of the tumor were performed followed by a high-dose intravenous steroid therapy. At 5 months postoperatively, slit lamp biomicroscope showed no chamber reaction; improved disc swelling and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in the right eye were observed.
Conclusions: Despite conservative treatment for exposure keratitis due to proptosis caused by malignant sphenoid meningioma,corneal perforation can develop. Because sympathetic ophthalmia can occur, the other eye should be monitor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