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병행 하사근 약화술이 간헐외사시의 외직근 후전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 of Inferior Oblique Weakening Procedures Combined with Surgery for Intermittent Exotr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신종훈 백혜정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2, 249~253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간헐외사시와 동반된 하사근 기능항진증을 동시에 수술 교정해야 하는 경우, 하사근 약화술이 외직근 수술 효과에 어떤 영향을주는지 관찰함으로써 외직근과 하사근의 병행 수술 시의 외직근 수술량 결정에 참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간헐외사시에 대하여 양안 외직근 후전술을 단독으로 받은 환자군(1군)과 간헐외사시와 동반된 하사근 기능항진증으로양안 외직근 후전술과 양안 하사근 약화술을 받은 환자군(2군)을 대상으로, 외직근 수술량에 따른 수술 전, 수술 후 3개월, 12개월의원거리 편위각과 편위각의 수술 전후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1군(98명)과 2군(77명) 사이에 수술 전 편위각은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으며, 수술 전 인자도 차이가 없었다(p>0.05). 1군과 2군사이에 외직근 수술량에 따른 수술 전, 수술 후 3개월, 12개월에서의 편위각과 편위각의 수술 전후 변화량은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하사근 약화술은 외직근 후전술 후 수평편위각에 유의한 변화를 주지 않으므로, 외직근 후전술과 하사근 약화술 병행시행 시단독 외직근 후전술에 비해 특별히 수술량에 대한 보정은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whether combining inferior oblique weakening procedures with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as a surgical approach to intermittent exotropia enhances postoperative horizontal angle of deviation over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alone.
Methods: Patients were allocated to one of two surgical groups: a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group (Group 1) or a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with bilateral inferior oblique weakening group (Group 2). Group differences in the angle of distance deviation were evaluated preoperatively and at 3- and 12-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operative factors or angles of deviation between Group 1 (n = 98) and Group2 (n = 77);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in the angle of deviation was observed at any postoperative time point (p > 0.05).
Conclusions: Combined inferior oblique weakening procedure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horizontal angle of deviation after surgery for intermittent exotropia.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revise the surgical amount of lateral rectus recess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메드밸브삽입술 중 발생한 모양체해리 틈에 의한 저안압증 1예
- 만성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광역학치료와 유리체강내 라니비주맙 주입술 전후의 맥락막 과투과성 변화에 대한 정량적 비교
- 다른 재질의 비구면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이후,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 시행률의 비교
- 안와골절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복시와 안구회선의 비교
- 얼음검사 양성을 보인 비-눈근육무력증 2예
- 히알우론산나트륨 점안액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독성 각막염 1예
- 과잉 알코올 섭취 환자에서 발생한 자발성 맥락막상강 대량 출혈 1예
- 이상두위를 보이는 눈떨림 환자의 수술 후 장기간 임상 양상 및 재발에 관여하는 인자
- 굴절교정술 후 재수술의 임상성적
- 무안구증 환자에서 안와 삽입물 삽입과 진피-지방 이식 동시 수술의 결과
- 병행 하사근 약화술이 간헐외사시의 외직근 후전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안내염의 시력 결과에 대한 내경계막제거술의 영향
- 특발성망막앞막과 황반원공 환자의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 동시수술에서 굴절값의 예측정확도
- 자세변동에 따른 안압의 변화와 안구박동크기와의 관계
- 얼굴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한 안와 용적의 측정
- 약시에 대한 매일 가림치료와 격일 가림치료의 효과 비교
- 뇌수막종에 의한 각막 천공 후 생긴 교감성 안염 1예
- 미숙아 병력을 가진 외사시 환아의 임상양상 및 수술 결과
- 토수플록사신 0.3% 점안약의 안구표면상재균에 대한 균음성률과 전방내 농도에 관한 연구결과
- 가시아메바각막염의 복합 치료약제에 의한 각막독성 2예
- 필러 주입 후 발생한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뇌경색과 안동맥폐쇄 1예
- 돼지 눈 실험 모델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수직 및 수평 측정값의 정확성과 반복성 비교
- 가림치료 중단 후에도 회복되지 않은 우세안의 가림원인약시 1예
- 결막 신경종에 의해 조기 진단된 다발성 내분비 종양 1예
- 건성안에서 사이클로스포린 0.05% 점안 후 눈물 삼투압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