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Pristine Readership of the Markan Gospel
이용수 26
- 영문명
- 발행기관
-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 저자명
- 송일(Ryan IL Song)
- 간행물 정보
-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제7호, 231~26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27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복음서의 일차적 독자를 규명하기 위한 여러 목소리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주장은 각각의 복음서기자들이 동시대 지중해 지역에 존재했던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독자로 염두에 두고 각각의 복음서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 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사복음서가 당시 모든 기독 공동체내에서 광범위 하게 읽혀졌고, 둘째, 이런 광범위 독서는 그레코-로만 시대의 특징중 하나인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편안한 여행에 기인하며, 마지막으로 사복음서가 위인전(bios)이라는 당대의 문학 형식을 따르고 있으므로 위인전이라는 특성상 당시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독자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근거에 대한 신중하고 비판적인 접근은, 사복음서가 1세기 지중해 연안 지역에 거주하던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대상으로 기록되었다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 특별히 본 연구는 조사의 범위를 마가복음으로 한정하여, 적어도 저자인 마가가 의도한 본연의 고유한 독자는 구별된 집단, 즉 마가 공동체이였음을 증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더욱이 이러한 일차적 마가복음의 독자에 관한 규명은 마가복음이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한결같이 역사해오고 있음을 역설적으로 강조 한다.
영문 초록
There is a noticeable argument about the scope of the readership of the Gospels of the New Testatment: they were written from the start for all Christians in the Mediterranean world of the first century C.E. The reasons for such an argument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him, the Gospels were originally meant for the circular reading among general Christian groups, 2) this wide, circular reading of the Gospels resulted from and was even fostered by the favorable circumstances of travel in the Greco-Roman period, and 3) the Gospels as the Greco-Roman bios in their genre were expected by the Evangelists of the New Testament to be read by all Christians. However, this article contends that those arguments are not convincing when one critically approaches them. Focusing especially on the Gospel of Mark, one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at least Mark had a unique group of Christians, the so-called Markan community, not all his contemporary Christians, in his mind as the Gospel's first readers. Furthermore, this specific readership of the Markan Gospel does not deny, but rather reinforces its validity as God's words for every Christian in any place in any time.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Conclusion
BIBLIOGRAPHY
한글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