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회세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평가와 대안
이용수 190
- 영문명
- A Sociocultural Evaluation and Alternaticve to the Church Hereditary
- 발행기관
-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 저자명
- 김승진(Seung jin Kim)
- 간행물 정보
-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제7호, 41~7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27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회세습은 어느 날 갑자기 우연적으로나 또는 우발적으로 터져 나온 하나의 순간적인 '사건'이 결코 아니다. 이것은 다분히 의도적이고 계획적이며 심지어 나름대로 치밀하게 준비된 '일련의 과정'이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문제'이다. 필자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교회 내에서 세습이 허용되는 요인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첫째, 교회성장의 성공적인 경험과 확신. 먼저 교회세습이 허용되어지게 된 근본원인에는 교회성장에 있어서 성공적인 경험이 주도적인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 교회성장에 있어서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의 '공'. 대형교회의 성공과 성장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목회지도자들의 역할일 것이다.
셋째, 대부분의 교회에서 의사결정권과 교회의 실질적인 권한은 주로 목회자와 장로들이 독점하고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특별히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에 의해서 교회가 비약적인 성장을 한 대형교회들의 경우에는 그 영향력이 엄청나다.
이런 점에서 대형교회와 대형교단들은 자기반성과 하나님 앞에 회개의 무릎을 꿇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대형교회와 대형교단들은 그 사회적인지도와 영향력이 가져오는 결과에 대한 책임의식을 깊이 인식하며, 이제는 오히려 바른 목회지도력의 계승을 위한 바람직한 모델이 되는 일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대형교회들은 자신들이 가진 영향력을 하나님 앞에서의 책임으로 인식하며, 바른 목회지도력의 계승을 통하여 건강한 모델이 되는 역할이 되어 이제는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일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hereditary succession in ministry is not a simply event happening very accidently. It is a chain of processions which is intentional and calculated as well as carefully prepared. There are four factors for a persmission of hereditary succession.
Successful experience and conviction of church growth. It can be said generally that successful experience of church growth is a main factor for permission of church hereditary.
Charismatic leader's contribution to church growth. Charismatic pastors have an significant roll in growing church,
In many churches in Korea the decision have been laid on pastors or presbyterians. In this point charismatic pastors have overall right to ministering church.
목차
한글초록
Ⅰ. 들어가는 말: 왜 '세습문제'와 함께 '바른 목회지도력의 계승'이 주제가 되어야 하는가?
Ⅱ. 교회세습문제에 대한 사회문화적 분석과 평가의 필요성
Ⅲ. 바른 목회지도력의 계승을 위하여
Ⅳ. 맺는 말: 긍정적인 모델의 필요성과 대형교단과 대형교회의 역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