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Peripapillary Atrophy According to the Optic Disc Shape Using Spectral Domain OC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근영 이유경 문정일 박명희,Geun Yeong Kim, MD, You Kyung Lee, MD, Jung Il Moon, MD, PhD, Myoung Hee Park,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4,number11, 1748~175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β-zone of peripapillary atrophy (PPA-β) using cross-sectional image of the optic disc head from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according to the optic disc shape. Methods: One hundred thirty-seven eyes in 137 patients with glaucoma having PPA-β and 31 normal eyes (control group)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Cross-sectional images of the optic disc were taken using the Cirrus HD-OCT. We classified optic disc patterns into normal, focal, myopic, generalized enlargement and senile sclerotic appearance types and analyzed the shape of Bruch’s membrane (BM), composition of retinal layer and retinal slope according to the optic disc shape. Results: Among the 137 eyes with glaucoma, 54 eyes were focal disc type, 34 eyes were myopic disc type, 28 eyes were generalized enlargement disc type and 21 eyes were senile sclerotic disc type. The myopic disc group showed a noticeable differenc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terms of a higher percentage of BM defect type, the lowest retinal slope (70.6 ± 12.0°) and the earlier termination of retinal layers. The generalized enlargement disc group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curved BM type. Retinal slope angle increased with age and decreased with axial length. Conclusions: In the β-zone of peripapillary atrophy, there were several differences in the shape of Bruch’s membrane, composition of retinal layers and the retinal slope according to the optic disc shape.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11):1748-1756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망막혈관종성증식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의 12개월 임상결과
- 급성망막괴사에서 망막박리 발생의 위험인자
- 성인에서의 급성 수직사시의 임상적 특징
- 절반용량의 광역학치료를 받은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 소견과 시력과의 상관관계
- 망막분지정맥폐쇄에 합병된 황반부종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 후 발생한 혈소판감소 1예
- 상공막염으로 나타난 신경매독 1예
-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하여 관찰한 정상소아에서 후극부 맥락막의 형태
- 원발군날개 절제술 후 눈물막의 변화
- 정상안압녹내장의 시야손상 진행과 각막생체역학인자의 관련성
- 녹내장이 발생한 Sturge-Weber 증후군 환자의 임상양상과 수술성적
- 공여편 삽입 방법에 따른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 이식술의 임상결과 비교
- 복시환자의 임상양상
- 양측 선천성 누루 환자에서 누루절제술 시행 후 반복된 감염과 염증
- AL-Scan;을 이용한 술 전 안구생체계측과 백내장 수술 후 굴절력 예측의 정확성
- 갑상샘관련 근병증과 비특이성 안근염에서의 안와지방과 외안근 밀도의 비교
- 빠르게 진행하는 망막하 농양을 동반한 내인성 세균성 안내염
- 대규모 불산 누출사고가 지역사회의 눈 건강에 미치는 영향
- ICL 삽입술 후 안축장 측정값의 변화
- 특발성 황반원공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자세에 따른 성적 비교
- 황반원공 수술 후 중심와 주변 미세구조 변화의 장기 결과
-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시신경유두 모양에 따른 시신경 유두주위위축 분석
- 24개월 이상 선천 코눈물관막힘 환아의 단계적 탐침술을 동반한 단, 상하누소관 실리콘관 효과
- Zywave; II 수차계로 측정한 굴절교정수술 대상안의 수술 전 안구수차 분석
- 안내후방콘텍트렌즈 크기교체술을 시행한 후 vault의 변화 양상
- 후부다형각막이상증의 공초점주사현미경소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