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취법 차이에 따른 백내장 수술 후 눈꺼풀처짐의 발생 비교
이용수 5
- 영문명
- Comparison of Ptosis Occurrence after Cataract Surgery Depending on Anesthetic Method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영국 문지영 김성진,Young Kook Kim, MD, Ji Young Moon, MD, Sung Jin Kim,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3,number9, 1226~1230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procaine hydrochloride topical anesthesia and Nadbath-Rehman-Ellis akinesia to observe orbicularis oculi stress against the eyelid speculum and occurrence of postoperative ptosis. Methods: In 40 eyes of 20 patients, 1 eye underwent a cataract operation by topical anesthesia and the other eye underwent Nadbath-Rehman-Ellis akinesiaDepending on the anesthetic method, the 2 group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marginal reflex distance and levator function after the surger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in the mean preoperative MRD1 which was 2.5 ± 0.4 mm and levator function which was 9.0 ± 1.1 mm. After 1 week and 4 weeks, the mean MRD1 on eyes with topical anesthesia was 2.0 ± 0.3 mm and 2.3 ± 0.3 mm, respectively, and the mean MRD1 on eyes with Nadbath-Rehman-Ellis akinesia was 2.3 ± 0.2 mm and 2.4 ± 0.4 mm, respectively,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p = 0.046, 0.042). The levator func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duction of MRD1 over 2 mm was shown only in the group with topical anesthesia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mparison to the group with Nadbath-Rehman-Ellis akinesia which had none. Conclusions: In cataract surgery, Nadbath-Rehman-Ellis akinesia can reduce damage to the levator aponeurosis decreasing the occurrence of postoperative ptosis.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9):1226-1230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하이드록시클로로퀸에 의한 망막병증 1예
- 하부열공망막박리에서 실리콘기름 충전술의 수술결과 및 의의
- 일차하사근기능항진 환자에서 외회선의 임상적 평가
- 성인 코눈물관 부분폐쇄에서 실리콘관 삽입술 후 마이토마이신 점안의 효과
- 결막의 출혈성 림프관확장증 1예
- 마취법 차이에 따른 백내장 수술 후 눈꺼풀처짐의 발생 비교
- 소절개창 백내장 수술에서 절개방법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 및 자각증상의 변화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 레이저광응고술 후 생긴 맥락막신생혈관의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 망막정맥폐쇄환자에서 황반부종의 양상에 따른 단기 시력예후
- 압박시신경병증으로 발현된 내경동맥의 미파열성 거대동맥류
- 열공망막박리 환자의 수술 후 시야 및 망막신경섬유층 변화 비교
- 인도시아닌그린 염색약을 이용한 여과포의 윤부각막 침입의 치료 1예
- 전층각막이식술 후 각막감각의 장기 변화 및 이와 관련된 눈물막변수의 분석
- 간헐외사시에서 외직근 후전 후의 속발내사시
- 스트레스가 안압 및 눈물분비에 미치는 영향
- 표층황반원공에서 수술적 치료의 결과
- 눈물점 폐쇄에서 눈물점성형술과 Pigtail Probe를 이용한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
- Ocular Response Analyzer의 재현성 및 골드만압평안압, 비접촉안압과의 비교
- 24시간 만에 호전된 단안성 푸르처 망막병증 의증 환자의 OCT 양상 1예
- 가쪽눈꺼풀판띠고정술과 퀴커트 봉합술을 동시에 시행한 퇴행성 눈꺼풀속말림의 치료결과분석
- 상대정맥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안허혈에 의한 신생혈관녹내장 1예
- 홍채고정안내렌즈 삽입술 후 엎드린 자세가 임계거리에 미치는 영향
- 원발 군날개절제술 후 영구양막이식술과 일시양막이식술의 비교
- 동공크기에 따른 미세절개 백내장 수술 후의 고위수차 변화양상
- 아메바 모양의 침착물을 동반한 독성 전방 증후군에서 야그레이저를 이용한 치료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