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절개창 백내장 수술에서 절개방법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 및 자각증상의 변화
이용수 0
- 영문명
- Change of the Tear Film Instability and Subjective Symptoms after Small-Incision Cataract Surge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의연 김민호 양홍석,Eei Yon Kim, MD, Min Ho Kim, MD, Hong Seok Yang,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3,number9, 1269~127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corneal surface changes and subjective symptoms after small incision cataract surgery and to compare the changes between clear corneal incision and corneoscleral incision. Methods: The present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included 18 eyes of 18 patients with corneoscleral incision (Group 1) and 25 eyes of 25 patients with clear corneal incision (Group 2). All patients were examined for tear break-up time (BUT), Schirmer test, cornea and conjunctiva fluorescein staining, and dry eye symptoms using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All values were compared before surgery and at one day, one week, four weeks, and seven weeks after surgery. Results: BUT decreased significantly (p < 0.05) and fluorescein staining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5) at postoperative day 1. The values of BUT and fluorescein staining returned to the preoperative level at postoperative week 3 in Group 1. In Group 2, fluorescein staining scores returned at one week and BUT returned to the preoperative level at postoperative week 3. Postoperative Schirmer test results were unchanged compared to preoperative valu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SDI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preoperative scores at postoperative one week. In Group 1, the scores improved at postoperative one week (p < 0.05) compared to those in Group 2 at postoperative three weeks (p < 0.05). Conclusions: Phacoemulsification with a small incision induced transient corneal surface changes and tear film instability, but the changes returned to the preoperative level at postoperative three weeks. Dry eye symptoms also improved at postoperative one week. The changes lasted longer with clear corneal incision than with corneoscleral incision but returned to the preoperative level at postoperative three weeks in both groups.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9):1269-1275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하이드록시클로로퀸에 의한 망막병증 1예
- 하부열공망막박리에서 실리콘기름 충전술의 수술결과 및 의의
- 일차하사근기능항진 환자에서 외회선의 임상적 평가
- 성인 코눈물관 부분폐쇄에서 실리콘관 삽입술 후 마이토마이신 점안의 효과
- 결막의 출혈성 림프관확장증 1예
- 마취법 차이에 따른 백내장 수술 후 눈꺼풀처짐의 발생 비교
- 소절개창 백내장 수술에서 절개방법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 및 자각증상의 변화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 레이저광응고술 후 생긴 맥락막신생혈관의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 망막정맥폐쇄환자에서 황반부종의 양상에 따른 단기 시력예후
- 압박시신경병증으로 발현된 내경동맥의 미파열성 거대동맥류
- 열공망막박리 환자의 수술 후 시야 및 망막신경섬유층 변화 비교
- 인도시아닌그린 염색약을 이용한 여과포의 윤부각막 침입의 치료 1예
- 전층각막이식술 후 각막감각의 장기 변화 및 이와 관련된 눈물막변수의 분석
- 간헐외사시에서 외직근 후전 후의 속발내사시
- 스트레스가 안압 및 눈물분비에 미치는 영향
- 표층황반원공에서 수술적 치료의 결과
- 눈물점 폐쇄에서 눈물점성형술과 Pigtail Probe를 이용한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
- Ocular Response Analyzer의 재현성 및 골드만압평안압, 비접촉안압과의 비교
- 24시간 만에 호전된 단안성 푸르처 망막병증 의증 환자의 OCT 양상 1예
- 가쪽눈꺼풀판띠고정술과 퀴커트 봉합술을 동시에 시행한 퇴행성 눈꺼풀속말림의 치료결과분석
- 상대정맥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안허혈에 의한 신생혈관녹내장 1예
- 홍채고정안내렌즈 삽입술 후 엎드린 자세가 임계거리에 미치는 영향
- 원발 군날개절제술 후 영구양막이식술과 일시양막이식술의 비교
- 동공크기에 따른 미세절개 백내장 수술 후의 고위수차 변화양상
- 아메바 모양의 침착물을 동반한 독성 전방 증후군에서 야그레이저를 이용한 치료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