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유형문화 토기 생산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Geochemical Study of Pottery Production in the Jungdo Culture: Hard Plain Pottery and Paddled Pottery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박지영(Jiyoung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29호, 63~9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도유형문화권 내 취락유적에서 출토된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를 대상으로 지 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두 토기의 생산과 전문화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제작기술 의 차이에 근거해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의 생산자 및 생산지의 분리를 가정하고 물레질-타날법 도입 이후의 전문화 과정을 논의해 왔다. 그러나 생산유구의 부재로 이러한 가설은 본격적으로 검증되지 못하였고 중도유형문화권의 토기 생산 연구 자체도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본고에서는 pXRF를 이용하여 토기 태토의 지화학적 조성을 분석함으로써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의 원료 점토 차이 및 태토의 표준화 양상을 유적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부 유적에서는 두 토기유형 간에 태토의 화학 조성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전문화 정도의 차이도 확인된 반면, 몇몇 유적에서는 태토가 변별되지 않고 전문화 수준의 차이도 확인 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토기유형의 생산체계에 대한 기존의 이해가 일반화된 이론에 근거한 해석일 수 있으며 유적 혹은 지역에 따라 토기의 생산과 분배 방식에 차이가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차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지화학적 분석 및 암석학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유적별 유물상과 유적의 정치경제적 성격에 대한 복합적인 고려, 무엇보다 생산유적에 대한 조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duction and specialization of Hard Plain Pottery (Gyeongjilmumun pottery) and Paddled Pottery (Tanalmun pottery) excavated from settlement sites in the Jungdo culture through geochemical analysis. Previous studies, based on technological differences, have assumed that the two types of pottery were produced by different potters in separate workshops, and have discussed the introduction of the wheel-paddling technique as evidence of increased specialization.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excavated production facilities, these hypotheses have not been rigorously tested, and research on pottery production in this region has remained limited. By analyzing the geochemical composition of clay bodies using pXRF, this study compares differences in raw materials and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between the two pottery types on a site-by- site basis. The results reveal that in some sites, clear compositional differences and varying degrees of specialization can be observed, while in others, the two types are geochemically indistinguishable and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pecializ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urrent interpretations of pottery production systems may rely on generalized, a priori assumptions, and tha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rategies likely varied by site and region. To better understand these patterns, further geochemical and petrographic analyses are required, along with integrated consideration of site-specific assemblages and their political-economic contexts, and most importantly,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f production sites.

목차

Ⅰ. 서론
Ⅱ. 중도유형문화 토기 생산에 대한 선행 논의와 본고의 접근법
Ⅲ. 분석 대상과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지화학적 분석으로 본 중도유형문화의 토기 생산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영(Jiyoung Park). (2025).중도유형문화 토기 생산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 63-98

MLA

박지영(Jiyoung Park). "중도유형문화 토기 생산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2025): 6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