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메바 모양의 침착물을 동반한 독성 전방 증후군에서 야그레이저를 이용한 치료
이용수 2
- 영문명
- Nd:YAG Photodisruption of Toxic Anterior Segment Syndrome Related to Amoeboic Deposi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인기 김재훈 김재찬 전연숙,In Ki Park, MD, PhD, Jae Hoon Kim, MD, Jae Chan Kim, MD, PhD, Yeoun Sook Chun,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3,number9, 1334~1340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3 unusual cases of toxic anterior segment syndrome resembling transparent amoeboid deposits following cataract surgery and to determine effective treatment methods. Case summary: Three patients underwent uneventful phacoemulsification with implantation of a hydrophobic acrylic intraocular lens (IOL) and patching with antibiotic/steroid ointment at the end of surgery. At a mean of 15 days postoperatively, a significant number of anterior chamber inflammatory cells and multiple transparent amoeboid deposits with central, elevated, gray-white opaque material on the anterior surface of the IOL were observed. In two cases, greasy material coated the anterior surface of the IOL in a wavy pattern. All laboratory tests to exclude infectious endophthalmitis were negative. Presuming postoperative inflammation, intensive topical steroid was administered. After treatment, anterior chamber reactions decreased; however, the multiple whitish deposits remained. Subsequently, a Nd:YAG laser (0.8 mJ) was used to disrupt and remove the precipitates. The masses were easily and obviously removed by laser therapy, and the mild residual inflammation resolved satisfactorily with mild topical steroid treatment. No recurrence or related complications developed during the two-year follow-up period in any patients. Conclusions: The delayed postoperative inflammation onset resembling amoeboid deposits is thought to be caused by ingress of ointment into the eye. The specific lumpy deposits cannot be controlled with topical steroids, although Nd:YAG laser treatment can effectively remove inflammatory cell deposits mingled with greasy oil material.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9):1334-1340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하이드록시클로로퀸에 의한 망막병증 1예
- 하부열공망막박리에서 실리콘기름 충전술의 수술결과 및 의의
- 일차하사근기능항진 환자에서 외회선의 임상적 평가
- 성인 코눈물관 부분폐쇄에서 실리콘관 삽입술 후 마이토마이신 점안의 효과
- 결막의 출혈성 림프관확장증 1예
- 마취법 차이에 따른 백내장 수술 후 눈꺼풀처짐의 발생 비교
- 소절개창 백내장 수술에서 절개방법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 및 자각증상의 변화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 레이저광응고술 후 생긴 맥락막신생혈관의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 망막정맥폐쇄환자에서 황반부종의 양상에 따른 단기 시력예후
- 압박시신경병증으로 발현된 내경동맥의 미파열성 거대동맥류
- 열공망막박리 환자의 수술 후 시야 및 망막신경섬유층 변화 비교
- 인도시아닌그린 염색약을 이용한 여과포의 윤부각막 침입의 치료 1예
- 전층각막이식술 후 각막감각의 장기 변화 및 이와 관련된 눈물막변수의 분석
- 간헐외사시에서 외직근 후전 후의 속발내사시
- 스트레스가 안압 및 눈물분비에 미치는 영향
- 표층황반원공에서 수술적 치료의 결과
- 눈물점 폐쇄에서 눈물점성형술과 Pigtail Probe를 이용한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
- Ocular Response Analyzer의 재현성 및 골드만압평안압, 비접촉안압과의 비교
- 24시간 만에 호전된 단안성 푸르처 망막병증 의증 환자의 OCT 양상 1예
- 가쪽눈꺼풀판띠고정술과 퀴커트 봉합술을 동시에 시행한 퇴행성 눈꺼풀속말림의 치료결과분석
- 상대정맥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안허혈에 의한 신생혈관녹내장 1예
- 홍채고정안내렌즈 삽입술 후 엎드린 자세가 임계거리에 미치는 영향
- 원발 군날개절제술 후 영구양막이식술과 일시양막이식술의 비교
- 동공크기에 따른 미세절개 백내장 수술 후의 고위수차 변화양상
- 아메바 모양의 침착물을 동반한 독성 전방 증후군에서 야그레이저를 이용한 치료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