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측 미숙아망막병증의 고찰
이용수 12
- 영문명
- A Review of Nasal Retinopathy of Prematurity Case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동철 김광수 김유철,Dong Cheol Lee, MD, Kwang Soo Kim, MD, Yu Cheol Kim,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2,number12, 1485~148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nasal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Methods: A total of 111 eyes from 56 ROP-affected infa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laser photocoagulation by retina specialists at the nasal site were examined. The gestational age at birth and diagnosis, location of the lesion, time, and number of laser photocoagulation therapies for nasal and temporal ROP were analyzed. Results: Thirty-three cases (29.7%) were diagnosed with nasal ROP. The mean gestational age at birth was 28.43 weeks for nasal ROP, and 29.44 weeks for temporal ROP (p = 0.022). Additionally, the average gestational age of infants who received laser photocoagulation was 36.61 weeks for nasal ROP, and 39.71 weeks for temporal ROP (p = 0.001). The average number of ROP laser photocoagulation trials was 2936.03 for nasal ROP, and 1611.83 for temporal ROP (p = 0.0001). No case was observed with a wider avascular area in the nasal retina than in the temporal retina. Additionally, compared to the temporal ROP, the nasal RO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gression rates, 33.3% in the nasal group and 8.97% in the temporal group (p = 0.001). Conclusions: Nasal ROP was due to the ROP lesions developing earlier in the nasal than the temporal retina, although not due to any atypically wider nasal avascular area. In these cases, nasal ROP showed more disease progression compared to temporal ROP.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12):1485-1489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회 이상 전층각막이식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장기간 임상결과와 이식실패의 위험인자
- 라섹 수술 후 통증에 대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점안액의 선행 진통 효과
- 정상안압녹내장에서 초기 시야결손의 발생위치와 관련된 임상인자 분석
- 안내렌즈삽입술을 위한 홍채절개술 후 발생한 눈부심 2예
- 돌연변이 마이오실린 발현에 의한 섬유주세포 사멸 및 그 기전
- 섬유주세포에서 Erythropoietin이 일산화질소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 플루오로퀴롤론 점안약의 안구 내 수술에서의 예방적 사용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연구 결과
- 섬유주절제술에서 결막편에 따른 여과포 형태 비교
- 신생혈관녹내장에서 항대사제의 병용 여부에 따른 아메드 장치 삽입술의 수술 성공률 비교
- 반복되는 눈꺼풀과 결막의 염증이 첫 임상증상으로 나타난 재발성 다발성 연골염 1예
- 세극등 하에서 시행하는 결막하 낭종의 새로운 제거법
-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수술에서 발생한 상피내생의 분석
- 레이저 각막절삭 가공성형술을 이용한 노안 및 굴절교정수술 후 눈물막과 각막지각의 변화
- 정상인과 퇴행성 아래 눈꺼풀 속말림 및 눈물 흘림 환자에서 안쪽, 가쪽 눈구석 인대 이완의 측정
- 공막연화증에서 조직접합제를 이용한 공막이식술, 자유자가결막이식술 및 일시적 양막이식술
- 비측 미숙아망막병증의 고찰
- 마이토마이신 C가 흰 쥐의 속눈썹 재성장에 미치는 영향
- 코 눈물관 폐쇄 환자에서의 Silastic Sheet를 이용한 눈물주머니 피판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임상 결과
- 젊은 환자에서 장기간의 클로나제팜 복용 후 발생한 백내장 1예
- 하이드로겔 재질의 전(全)광학부 형태인 조절인공수정체의 임상결과와 안정성
- 자동각막굴절계, IOL Master, 각막지형도의 각막굴절력 및 각막난시 측정의 비교 분석
- 거짓비늘증후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녹내장: 저안압녹내장
- 눈꺼풀 바닥편평세포암 1예
- 학동기이전 소아 안와골절 환자의 임상양상과 예후
- 망막중심오목형성저하 환자의 임상적 특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