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상인과 퇴행성 아래 눈꺼풀 속말림 및 눈물 흘림 환자에서 안쪽, 가쪽 눈구석 인대 이완의 측정
이용수 0
- 영문명
- Medial and Lateral Canthal Tendon Laxity: An Evaluation of Patients with Involutional Entropion and Epiphor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태은 이화 이종미 백세현,Tae Eun Lee, MD, Hwa Lee, MD, PhD, Jongmi Lee, MD, Sehyun Baek,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2,number12, 1385~139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degree of laxity of the medial and lateral canthal tendon in Korean subjects with and without involutional entropion and epiphora was evaluated in the present study. Methods: The present study included 180 normal subjects (360 eyes), 12 patients (15 eyes) with involutional entropion, and 41 patients (58 eyes) with epiphora. The degree of laxity of the medial and lateral canthal tendon, which grades the position of the inferior punctum, was measured using the lateral and medial distraction test. Results: The mean degree of medial and lateral canthal tendon laxity was 1.83/1.08 in normal subjects. A statistical difference was not observed between sexes, and the mean degree of laxity tended to be higher in older patients. The mean degree of laxity was 2.78/2.18 and 2.28/1.22 in the involutional entropion group and the epiphora group, respectively. The involutional entropion group and the epiphora group underwent endoscopic endonasal dacryocystitis (D), medial spindle procedure (M), and endoscopic endonasal dacryocystitis with the medial spindle procedure and/or the tarsal strip procedure (T). The mean degree of laxity was 1.84/1.04 in group D, 3.00/1.20 in group M, 2.33/2.00 in group D + T, 3.20/1.40 in group D + M and 3.50/2.00 in group D + T + M before surgery. Conclusion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may aid in the selection of a basic treatment plan for Korean patients with involutional entropion or epiphora.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12):1385-1390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회 이상 전층각막이식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장기간 임상결과와 이식실패의 위험인자
- 라섹 수술 후 통증에 대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점안액의 선행 진통 효과
- 정상안압녹내장에서 초기 시야결손의 발생위치와 관련된 임상인자 분석
- 안내렌즈삽입술을 위한 홍채절개술 후 발생한 눈부심 2예
- 돌연변이 마이오실린 발현에 의한 섬유주세포 사멸 및 그 기전
- 섬유주세포에서 Erythropoietin이 일산화질소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 플루오로퀴롤론 점안약의 안구 내 수술에서의 예방적 사용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연구 결과
- 섬유주절제술에서 결막편에 따른 여과포 형태 비교
- 신생혈관녹내장에서 항대사제의 병용 여부에 따른 아메드 장치 삽입술의 수술 성공률 비교
- 반복되는 눈꺼풀과 결막의 염증이 첫 임상증상으로 나타난 재발성 다발성 연골염 1예
- 세극등 하에서 시행하는 결막하 낭종의 새로운 제거법
-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수술에서 발생한 상피내생의 분석
- 레이저 각막절삭 가공성형술을 이용한 노안 및 굴절교정수술 후 눈물막과 각막지각의 변화
- 정상인과 퇴행성 아래 눈꺼풀 속말림 및 눈물 흘림 환자에서 안쪽, 가쪽 눈구석 인대 이완의 측정
- 공막연화증에서 조직접합제를 이용한 공막이식술, 자유자가결막이식술 및 일시적 양막이식술
- 비측 미숙아망막병증의 고찰
- 마이토마이신 C가 흰 쥐의 속눈썹 재성장에 미치는 영향
- 코 눈물관 폐쇄 환자에서의 Silastic Sheet를 이용한 눈물주머니 피판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임상 결과
- 젊은 환자에서 장기간의 클로나제팜 복용 후 발생한 백내장 1예
- 하이드로겔 재질의 전(全)광학부 형태인 조절인공수정체의 임상결과와 안정성
- 자동각막굴절계, IOL Master, 각막지형도의 각막굴절력 및 각막난시 측정의 비교 분석
- 거짓비늘증후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녹내장: 저안압녹내장
- 눈꺼풀 바닥편평세포암 1예
- 학동기이전 소아 안와골절 환자의 임상양상과 예후
- 망막중심오목형성저하 환자의 임상적 특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