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 연구
이용수 889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ring-Impaired Students Self-Identity, their Self-Efficacy, and their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Styl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우(Lee Jeong woo) 최성규(Choi Sung Kyu)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9권 제4호, 1~26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4,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정체감과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학교교육에서 청각장애학생의 바람직한 자아정체감과 자기효능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14년 9월 현재 37개 대학교 343명이 연구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연구기간인 2014년 9월 1일~9월 26일에 설문에 응답한 247건 중 신뢰롭게 응답한 240건을 최종 코딩하였다. 이후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최종 설문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배경변인별로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 또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아정체감과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결론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의 배경변인별 분석에서 자아정체감은 장애 발생 시기, 장애등급, 부모 수화 능력, 특수학교 경험 유무 배경변인의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성별과 장애등급 배경변인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청각장애대학생의 의사소통양식은 장애등급, 보장구 형태, 부모 중 청각장애 유무, 부모 수화 능력, 특수학교 경험 유무 배경변인의 영향을 받는다. 둘째,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에서 특수적 자아정체감의 장애수용 요인은 자신감 요인, 과제 난이도 선호 요인, 자기조절 요인에 해당되는 자기효능감과 상호 영향을 주고 받는다. 그리고 특수적 자아정체감의 농정체감 요인 및 농문화 인식 요인은 의사소통양식의 수화 요인과 영향을 주고 받는다. 또한 보편적 자아정체감의 자아존중 요인, 역할인지 요인, 친화력 요인은 자기효능감의 과제 난이도 선호 요인, 자신감 요인, 자기조절 요인과 상호 영향력이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oriented study,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identity,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style affecting the students and to present supporting methods that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in school education could generate desirable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As of September 2014, 343 students of 37 universities were joined in this study as participants and relevantly reliable 240 copies from the 247 copies surveyed between September 1 and September 26 were used for a final coding. Then final questionnaire was made b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t/F test or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on self identity,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style of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ir self identity,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styles. The conclusion of each is presented in the following two things.
First, focus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analysis of self-identity,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styles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self identity is affected by the variables such as hearing impairment onset, disability class, parent s sign language ability and special school experience. Self-efficacy is affected by gender and disability class. Also communication style is affected by the following variables such as disability class, assisting devices, one of the parents hearing disability status quo, sign language ability of their parents, special school experience.
Secondly, concerning the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self-identity, their self-efficacy, and their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styles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it is perceived that a disability acceptance factor of special self-identity has a mutual influence with self-efficacy which is applied to confidenc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and self-control. A sign language factor has an effect on both deaf identity and deaf culture recognition in special self-identity. A self-respect factor, a role recognition factor and a sociability factor in the universal self-identity are linked mutually to a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factor, a confidence factor and a self-control factor in self-efficac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Effects of Rapid Toilet Training on Independent Voids and Mands for Pre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의 공통성과 차별성 고찰 및 향후 연구에의 제안
-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 연구
- STEM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STEM영역 지식 및 선호, 진로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사의 교수공학 활용의도에 관한 구조 분석
- 수 감각, 핵심어, 문제 만들기를 강조한 수학 문장제 해결 전략의 효과
- 특수교육 수업평가 문항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