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s of Rapid Toilet Training on Independent Voids and Mands for Pre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용수 24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진혁(Jin hyeok Choi)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9권 제4호, 73~90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3,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속용변훈련(rapid toilet training)이 발달장애를 가진 유아원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미국 유아원에 다니고 있는 유아 3명이 본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실험참가자들은 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는 사립학교의 특수학급에 소속된 유아들이었다. 연구자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간의 기능적 관계를 분석하기위해 단일대상연구설계법 중에 하나인 대상자간 지연된 중다기초선 설계법(time- lagged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을 적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일상 학급시간에 아동이 화장실의 아동용 변기에 독립적으로 용변을 보는 횟수, 바지에 용변을 보는 횟수, 그리고 화장실에 가고 싶다고 음성요구 행동인 맨드를 보이는 횟수를 종속변인으로 측정하였다. 종속변인의 변화를 위한 독립변인으로 Azrin과 Foxx(1971)의 고속용변훈련에 바탕을 두고 수정된 절차가 사용되었다. 중재기 동안에 연구자는 실험참가자를 회기선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화장실을 이용하고 이때 화장실에 가고 싶다고 요구하는 음성행동(맨드)를 교수하였다. 또한 실험참가자가 화장실에서 용변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을 때 사회적ㆍ유형 강화제를 제공함으로써 목표행동을 강화해주었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모든 실험참가자의 화장실에 가기위해 적절하게 요구하는 맨드반응과 화장실에서의 성공적 용변행동이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바지에 용변을 보는 행동이 감소하고 실험의 종료시점에서는 더 이상 바지에 용변을 보는 행동을 보이지 않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rapid toilet training on three preschool students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attended a self-contained classroom of a publicly funded private preschool. A time-lagged multiple-baseline design was employed across the participants to identify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numbers of independent elimination in the toilet, accidents, and independent mands (i.e., self-initiation) emitted per da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rapid toilet training procedure modified based mainly on Azrin and Foxx (1971). During th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went to the bathroom in predetermined intervals and had opportunities to emit mands. They received edible and social reinforcement for successful elimination in the toilet. The result shows that the rapid toilet training procedure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accidents and increased the independent void in the bathroom and mands for toilet use.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s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Effects of Rapid Toilet Training on Independent Voids and Mands for Pre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의 공통성과 차별성 고찰 및 향후 연구에의 제안
-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 연구
- STEM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STEM영역 지식 및 선호, 진로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사의 교수공학 활용의도에 관한 구조 분석
- 수 감각, 핵심어, 문제 만들기를 강조한 수학 문장제 해결 전략의 효과
- 특수교육 수업평가 문항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