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참여를 통해 본 공동체 진입과정과 의미 탐색
이용수 2,078
- 영문명
- Exploring the Meaning and Entry Process of a Communit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a University Student's Club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윤창국(Youn Chang Gook) 이혜선(Lee Hye Sun)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0권 제4호, 81~113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기 성인이자 예비 사회구성원으로서 대학생들은 학문중심의 형식적ㆍ개인적 학습에서 나아가 일상생활에서 공동체중심의 학습경험을 형성하고 조직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동아리 활동참여를 통해 공동체에 진입하여 완전한 구성원이 되어가는 과정과 그 의미를 학습의 관점에서 탐색하기 위하여, 대학생 영어회화 연합동아리인 'A 동아리'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A 동아리에서 신입생은 동아리 및 기존 구성원들과 지원자 사이의 '상호 선택 및 평가'의 결과로서 공식적 참여의 권리를 획득한 이후, 주변적 참여자로서 '낯섦과 기대가 공존하는 명목적 구성원'에 머무르다가 '기존 구성원들의 인정'을 바탕으로 동아리에서 참여 수준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또한 신입생은 공동체 참여수준의 변화과정에서 '문제상황에서 직면하는 참여수준의 갈림길', '지속적인 공동체 활동 참여를 통한 소속감 고취', '핵심역할 경험을 통한 중심적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획득'이라는 특성을 나타냈다. 특히 '직접적 실천을 통한 공동체 문화 습득'은 공동체 중심으로의 이행과정에서 거름망의 역할을 하였으며, 신입생은 점차 완전한 구성원으로 이행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완전한 구성원으로서의 특성이자, 진입과정에서 나타나는 공동체적 학습의 결과로서 '공동체식 사고의 체화', '공동체 유지의 자부심과 책임감', 그리고 '보수성'이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explore the process of entering a communit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a university student's community and to draw the meaning of learning.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with 'A union Club' consisting of students from several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newcomer acquires the right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hrough 'the mutual evaluation and interdependence of choices' between the club and newcomers. Also, this study found that the newcomers' change from 'the peripheral participant' to 'the full participant' was possible through participation to practices in person and the existing members' recognition and acception. In this process, newcomers have encountered and tried to overcome many problems caused by complicated contexts, experienced the core role, and acquired community values, norms, behaviors and jargons. As the result, newcomers have acquired and internalized the community cultures. The characteristics of 'full participation' are 'self-esteem based on community', 'responsibility about the community's maintenance', and 'conservatism'. This result suggests that searching for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meaning about the entry process to the community and the changing to 'ful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present the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with the practice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