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배민수의 사회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이용수  463

영문명
A Study on Pai Min-Soo's Social Educational Thoughts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오혁진(Oh Hyuk Jin) 김미향(Kim Mi Hyang)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0권 제4호, 31~53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평생학습사회의 외형적 도래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회의와 비판이 점증하는 가운데, 평생학습 본연의 가치 실현을 위해서는 교육사상사적인 차원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사회교육자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사회교육 실천의 원리와 사회교육자의 전문성 및 자질, 현대사회에 주는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는 연구가 요구된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나라 현대사에서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재조명해 할 사회교육자로 배민수를 들 수 있다. 그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의 시기에 걸쳐 민족애와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농촌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세계 사회교육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덴마크 그룬트비의 사상을 한국의 상황적 맥락에 적용시키고자 노력한 대표적인 인물 중의 하나이다. 배민수의 사회교육활동은 주로 교육기관을 통한 사회교육활동, 순회강연활동을 통한 사회교육활동, 사회단체를 통한 사회교육활동, 언론을 통한 사회교육활동으로 유형화된다. 그의 사회교육은 사회참여적 기독교 세계관의 구현, 세계평화주의적 사상의 구현, 서구 자본주의의 한계 극복, 공산주의의 극복, 민족주의 정신의 고수를 사상적 토대 및 지향점으로 삼았다. 또한 그는 사회교육을 현실문제 해결과 종교적 이상 구현을 위한 수단 및 도구로서 받아들였으며 실용과 의식이 결합된 교육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도출된 배민수 사회교육의 실천원리로는 지도자 양성 중심의 사회교육 실천, 공동체지향적 조직운영, 운동지향적 소규모 조직의 활용을 들 수 있으며, 사회교육자의 요건으로는 상황변화에 따른 시대적ㆍ사회적 유연성, 사회교육활동에 대한 확고한 목표의식과 사명감, 유기적 지도자로서의 리더십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배민수의 사회교육사상은 교육자들이 냉철한 사회분석력과 시대적 사명감, 소외계층을 위한 사랑, 공동체 의식, 그리고 전문성과 열정을 갖추어야 함을 재확인시켜주며 오늘날 건전한 평생학습사회 구현을 위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문 초록

The skepticism and criticism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have been on the rise in spite of its external advent in recent years. It is time to conduct research to excavate social educators who made grea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educational thoughts, demonstrate the principles of successful practice of social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fication of social educators, and examine their meanings and limitations in modern times. In that context, one of the social educators to be actively excavated and re-illuminated in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is Pai Min-soo, who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gures that provided agricultural education actively based on love for Korean people and Christian faith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after Liberation and tried to apply the ideas of Grundtvig of Denmark, who had huge influences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education in the world, to the situational contexts of Korea. His social education has such ideological foundations and intention points as the implementation of Christian view of the world based on social participation, implementation of world pacifist ideology, conquest of the limitations of western capitalism, conquest of communism, social education as a tool to build Lord's Country, and adherence to the nationalist spirit. Those findings were used to find that the practice principles of his social education were the practice of social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production of leaders, emphasis on community-based interactions, pursuit of social education with reality and consciousness combined in it, and adherence to the small-sized movement-oriented principles. Based on his educational thought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requirements of social educators including the exercise of periodic and social flexibility, adherence to the intention point of social education, and exertion of leadership as an organic leader. In short, his ideology of social education reconfirms the importance of social analytical skills, periodic sense of duty, and self-sacrifice and passion in social education activities to social educators in modern society and asks them to have in-depth reflections on the instrumental utilization of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배민수의 생애와 사회교육활동
Ⅲ. 배민수 사회교육사상의 특성
Ⅳ. 결론 : 배민수 사회교육사상의 의의 및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혁진(Oh Hyuk Jin),김미향(Kim Mi Hyang). (2014).배민수의 사회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20 (4), 31-53

MLA

오혁진(Oh Hyuk Jin),김미향(Kim Mi Hyang). "배민수의 사회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20.4(2014): 3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