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개발 반대 운동에 참여한 지역주민의 시민성 학습: 밀양 송전탑과 강정 해군기지 반대 운동 사례
이용수 1,132
- 영문명
- Citizenship learning of indigenous people participating in anti-community-development campaigns at Gangjeong and Milyang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호(Kim Min Ho)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0권 제4호, 1~30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밀양 송전탑 반대운동과 강정 해군기지 건설 반대운동에 참여한 지역주민의 학습과정과 이들이 학습한 시민성의 성격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밀양과 강정 주민 및 활동가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지역주민들은 반대 운동에 참여하면서 교실 수업이 아닌 다양한 삶의 영역을 넘나들며 '수평적 확장학습'을 했다. 또 자신의 일상적 활동과 주민운동 참여, 그리고 이제까지의 주민운동 참여와 현재 직면한 삶 사이의 모순을 발견하고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활동체계를 형성하는 '수직적 확장학습'을 하였다.
지역주민들은 수평적, 수직적 확장학습을 통해 종래 자유주의적 시민에게 요구되었던 예의바름의 한계를 넘어섰다. 이들은 자신들을 국가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배제되고, 남성 중심의 지배질서에서 소외된 '소수자'로 인식했다. 이들은 지역개발 반대 운동에 '참여'하면서 권력, 제도, 관행, 문화 등에 의한 차별(혹은 폭력)에 저항하는 '주체성'를 배웠다. 또 다른 소수자들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이들의 권리를 인정하며 이들과 '연대'하는 자세를 학습했다. 남성지배적 질서 안에서 여성의 존재감을 '성찰'하게 되었다. 이 같은 시민성 이면에는 근대적 지식과 토착적 지식의 문화적 혼종이 놓여 있다. 밀양 주민은 농사꾼으로서의 일상과 송전탑 반대운동 전도사로서의 활동체계를 결합한 새로운 활동체계를 형성했다. 강정 주민들은 4ㆍ3의 기억을 통해 사람들 마음속에서 폭력이 사라져야 함을 인식하고, 해군기지 반대 운동을 넘어 강정을 평화마을로 만들어 가는 활동체계로 나가기 시작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forms and contents of informal citizenship learning by analyzing anti-community development campaigns: 'No naval base' at Ganjeong and 'no power transmission tower' at Milyang. And I interviewed with some participants in anti-community-development campaigns at two villages. They did expansive learning by boundary-crossing during campaigns. And they also did expansive learning dialectically by confronting the contradictions between activity systems.
Indigenous people participating in anti-community-development campaigns at Ganjeng and Milyang reconstructed citizenships resulted from expansive learning. Their new citizenships were different from liberal-democratic civilities. They implied minor's subjectivity to resist discriminations from power, institutions, practices, and cultures. Minors were excluded from power, capital, and patriarchy system. They also implied minor's solidarity to include different voices and to recognize their rights. And they implied indigenous knowledges. Milyang residents learned new activity patterns beyond farmer's everyday activity system and missionary activity system of anti-nuclear movement. Ganjeong residents learned peace movement beyond no naval base campaign, and they tried to make their village to be peaceful by remembering their history of 4ㆍ3.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지역개발 반대 운동 과정에서의 시민성 학습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