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간경비 성장에 대한 인과적 분석
이용수 105
- 영문명
- A Causal Analysis of the Growth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Effects of Changes in the Economy, Crime Rate, and Police Capacity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현희(Lee Hyun H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17권,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80년대 이후 국내 민간경비 산업이 비약적인 성장을 계속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성장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 몇 몇 연구들이 성장추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으나 그것들도 관련 요인들을 기술적인 수준에서 다루고 있으며 인과적 분석으로까지 발전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국내 민간경비 산업의 연도별 변화를 살펴보고, 시계열적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관련요인들에 대한 인과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서는 민간경비 성장추이를 산업의 규모(업체수, 경비원수 및 매출액)로 파악하였으며, 이를 경제성장, 범죄증가, 경찰인력의 변화와 비교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이 민간경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자료는 공식범죄통계와 사회경제지표, 경비협회와 경찰청의 민간경비관련 통계, 민간경비업체의 S사의 매출액 통계를 이용하였다. 추이분석결과 지난 20년 동안 국내 민간경비 산업은 지속적으로 또한 큰 폭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1990년대의 변화는 괄목할 만한 수준으로 10년 동안 매출액과 업체수는 각각 7배, 경비인력은 4배나 늘어났다. 이를 같은 기간의 경제성장, 범죄율과 비교하면 유사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GDP와 국민소득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전체형법범죄, 강도 및 침입절도도 급증하고 있다. 반면 경찰인력규모는 거의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회귀분석결과도 경제가 성장할수록 또한 범죄가 증가할수록 민간경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유형별로는 침입절도율의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찰력의 변화가 갖는 부적효과는 통계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또한 회귀식의 설명력이 매우 높게 나타나 경제요인과 범죄요인이 국내 민간경비 성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rapid growth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since 1980, researchers had paid very little attention on the causal aspects of the growth of the industry. Although there are several studies about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they tend to be descriptive from the analytic point of view.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ausal aspects of the industrial growth. In so doing, this research looks at the yearly changes in the size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since 1980,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changes in the economy, crime rates, and police capacities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are the official crime statistics, socio-economic indicators, statistics from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Korean association of private security, and annual revenue of a leading private security firm from 1978 to 2000. Trend analysis shows that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grew rapidly, especially in the 1990s. While economy and the crime rates have increased in the same period, but the police capacity has not been changed much.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es reveals that growth in the economy and the crime rate, particularly of burglary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Also the relatively high explanatory powers of regression analyses suggest strong influences of economy and the crime rate on the state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연구배경
Ⅲ. 자료와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불특정 다수를 향한 범죄'의 사회적 원인에 대한 연구
- 강력범죄에서의 범죄자 유형 분석기법(Criminal Profiling)의 도입에 관한 연구
- 특별형법으로서 '(가칭)테러방지법' 제정 및 수정안에 관한 연구
- 경찰문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 경찰행정학과 졸업생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학교교육의 과제
- 신용불량자에 의한 범죄의 양상에 관한 연구
- 노인의 범죄피해 특징 및 대책에 관한 연구
- 最近 自殺의 實態分析 및 豫防對策에 관한 硏究
- 경찰대학 운영체제의 재정립 방안
- 납치 및 유괴범죄의 실태와 대책
- 경찰관서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 성장에 대한 인과적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