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졸 청년층의 직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준비 요인 분석
이용수 23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djustment and Career Preparation of Korean University Graduates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혜령(Jung Hye Ryung) 송경오(Song Kyoung Oh)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185~203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졸 청년들의 직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준비단계에서의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9년 KEEP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년제 대졸 청년층의 직업적응수준은 그리 높지 않으며, 특히 현재 직무에 대한 만족도보다 미래 개인의 발전가능성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활동은 인터넷을 이용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직업적응에 정적 영향관계를 보이는 진로준비 요인은 대학에서의 진로상담, 적성-흥미검사, 면접훈련, 외국연수, 그리고 성공적 직업생활을 위해 좋은 성품이 중요하다는 가치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이 직업세계에 진입하여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데 발견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해당하는 가치관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work adjustment of university graduates. Using the 2009 survey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we analysed the factors in the phase of career preparation which affect the work adjustment of university graduates. Experiences such as career counseling served from their colleges, aptitude-interest test, interview training, overseas training programs and the emphasis of good personality for successful working life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their work adjustment.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programs or strategies to support these activities should be made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e phase of their career preparat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정리 및 관련 변인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졸 청년층의 직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준비 요인 분석
- 홀리스틱 교육에 기반한 미래 사회의 스마트 교육 분석
- 홀리스틱 예술교육을 위한 음악과 수학의 통합교육 교수-학습 연구
- 누리과정에 연계한 유아관찰 척도 개발
- Hill의 팀리더십 모델을 적용한 학교폭력 대처방안
- 홀리스틱 교육적 경험을 강조하는 고교 학교스포츠클럽리그 학생심판의 경험 탐색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초등학교 체육 및 스포츠 여가활동 프로그램 개발
- 뇌 기반 평가 도구로서 체력 포트폴리오 이해
-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 적응력이 자아존중감과 교직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본 '꿈, 끼, 행복교육'
- 유아의 정서지능, 유아의 행복감 및 유아의 리더십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