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정서지능, 유아의 행복감 및 유아의 리더십 간의 관계
이용수 406
- 영문명
-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Young Children's Leadership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나(Lee Mi Na)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151~167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 행복감 및 리더십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를 얻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의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5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4세와 만 5세 유아 280명(남아 155명, 여아 125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 행복감, 리더십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PC(win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빈도와 백분율, 그리고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정서지능, 유아의 행복감과 유아의 리더십 간의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지능, 행복감, 리더십 수준의 점수가 높은 유아는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 조절하는 능력과 사회적 집단에서 긍정적으로 잘 적응하고 조화를 이룰 때 더 행복하다. 즉 유아는 원만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주도적으로 자신에 대한 건강한 삶의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search for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uphoria and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subject of study are aged four, five, 280 young children's(155 boys, 125 girls) who are going to the 5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that located in G c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s, the collected data is for search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of young children's and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o searc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PC(win 17.0)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us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oddlers and young children's of happiness among the leadership in both the sub-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us emotional intelligence, happiness, a high leadership score of young children's is more happier when they positively well adapted and achieved harmony when made aware of their own and others' emotions and the ability to control in a group. And through their harmonious interaction, young children's can forming a healthy way of leading life with the organizat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졸 청년층의 직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준비 요인 분석
- 홀리스틱 교육에 기반한 미래 사회의 스마트 교육 분석
- 홀리스틱 예술교육을 위한 음악과 수학의 통합교육 교수-학습 연구
- 누리과정에 연계한 유아관찰 척도 개발
- Hill의 팀리더십 모델을 적용한 학교폭력 대처방안
- 홀리스틱 교육적 경험을 강조하는 고교 학교스포츠클럽리그 학생심판의 경험 탐색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초등학교 체육 및 스포츠 여가활동 프로그램 개발
- 뇌 기반 평가 도구로서 체력 포트폴리오 이해
-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 적응력이 자아존중감과 교직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본 '꿈, 끼, 행복교육'
- 유아의 정서지능, 유아의 행복감 및 유아의 리더십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