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화문록>의 텍스트 형성 및 서술시각에 대한 고찰

이용수  131

영문명
Study on the androcentric narrative of Hwamunrok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이지영(Yi Ji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23권, 371~398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화문록>은 당대 향유되었던 한글장편소설을 적극적으로 차용하여 창작된 작품이다. 선행소설에서 등장인물의 이름과 지명 등을 차용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서사의 측면에서는 <소문록>과 <옥린몽>의 영향이 감지된다. 그러나 여타 소설과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서술자의 시각은 선행텍스트와는 다르다. <화문록>은 한글장편소설에서 흔히 등장하는 부부갈등을 다루고 있지만, 여성인물의 내면에 초점을 맞춘 선행작품과는 달리 남성인물의 내면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여타 한글장편소설과 달리 여성의 애욕(愛慾)에 대해서 관대하다는 점에서, 야담이나 한문전기소설과 친연성을 보인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화문록>은 남성적 시각과 성향이 나타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on the male-oriented narrative of Hwamunrok. Hwamunrok is a classical korean novel written in Hangul. It was composed in the reception of preceding Hangul-novels of the day. So we can the find the similarities of charaters, story and apearance of frictions between Hwamunrok and the preceding novels, for example Somunrok and Okrinmong. But Hwamunrok's is narrated in the point of hero, not of heroin like other novels written in Hangul. Also it is liberal to passion or love against the rule that is simular to the story or novel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So I suppose that the writer would be a man.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선행텍스트의 수용 방식
3. <화문록>의 인물갈등과 서술태도
4. 결론-창작에 대한 추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영(Yi Ji young). (2011).<화문록>의 텍스트 형성 및 서술시각에 대한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3 , 371-398

MLA

이지영(Yi Ji young). "<화문록>의 텍스트 형성 및 서술시각에 대한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3.(2011): 371-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