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문적 창의성에 대한 고찰
이용수 118
- 영문명
- A Study about Humanistic Creativity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저자명
- 이경숙(Kyung-Sook Lee)
- 간행물 정보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24권, 5~30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humanistic creativity. There have been discussions for a long time as to whether creativity is domain general or domain specific. Recent research in cognitive psychology seems to favor domain specific. Humanistic creativity is the ability to work during the processes and productions of creativity in Liberal Art such as language, literature, philosophy, history, religion, folklore and aesthetics. It is also th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emotions, morals, and ethics. Emotional and moral creativities help one find oneself, accept oneself, love oneself, and be satisfied with oneself. They help one pursue social virtues and endeavors, as their personal vision to do good for others. Thus humanistic creativity could be defined as human creativity which makes one become what a person should be, and do what one should do for one's personal satisfaction and positive service to other people. This humanistic creativity is an essential element for future leaders, since it may give one personal satisfaction with one's life and be a positive ability to pursue social good. Further research is needed as to how to enhance this humanistic creativity.
목차
Ⅰ. 서론: 인문적 창의성에 대한 시각 (영역일반적대영역 특수적)
Ⅱ. 인문적 창의성의 세부 영역
Ⅲ. 결론: 인문적 창의성의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문영재교육과 상상력
- 인문적 창의성에 대한 고찰
- 극장지원정책과 극장경영체제 변화에 따른 독일 연극의 자립적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 수학과 인문학-접촉과 소통을 위한 소고
- 목포 5ㆍ18의 문화적 의미
- 니체의 문화비판을 통한 인문영재 개념의 모색
- 우리나라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수급정책의 장, 단기 발전 방안
- Alcohol Expectancy Words Recalled at a Higher Rate by Heavy Drinkers
-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visited: A Critical Analysis
- 정신지체 전공과 학생의 산업체 현장실습을 위한 지역산업체 인식조사
- 평생학습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 방향의 탐색
-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재 편찬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