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편가문소설의 전고(典故)와 독서 역학적 연구
이용수 672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Dynamics between Reading and authentic precedents of Korean Long Piece Novel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김문희(Kim, Moon-h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1권, 201~232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장편가문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장편가문소설에서 다양하게 출입하는 전고(典故)가 독자의 독서과정에 어떠한 역학적 작용을 하는가를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것이다. 장편가문소설에서 전고는 매우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장편가문소설의 전고의 기능과 의미는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
장편가문소설에 활용되는 전고를 내용적으로 살펴보면 부인ㆍ여성과 관련된 전고, 남녀의 혼인ㆍ애정과 관련된 전고, 부모ㆍ형제의 윤리나 가정사와 관련된 전고, 군신ㆍ치국과 관련된 전고, 남성의 외모나 재주와 관련된 전고, 선인(善人)의 고난과 관련된 전고, 행동 규범과 관련된 전고 등으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장편가문소설의 전고는 독자가 작품을 읽을 때 일정한 작용을 하여 독자가 작품을 탐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우선 전고는 사대부 여성의 계층적 지식과 교양을 제시하여 가해적(可解的) 독서 맥락을 창출한다. 또한 동일한 의미의 전고가 단어, 어구, 문장의 형태로 변주적으로 제시되어 독자가 정확하게 알지 못했던 지식을 알게 하고 한편으로 독자가 이미 알고 있던 지식을 확인하도록 하여 장편가문소설을 읽으면서 지식과 교양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동일한 전고가 한 텍스트에서 유교적 이념을 대변하기도 하고 현실적 상황 논리를 대변하기도 하면서 독자가 텍스트의 의미를 중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을 열어주기도 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authentic precedents in the Korean Long Piece Novels and its impact on the reading process. The authentic precedents in the Korean Long Piece Novels play a number of roles for the readers to be absorbed in the story. First, the authentic precedents in the Korean Long Piece Novels represent the level of knowledge and culture of the women in noble families and thus produce intelligible reading context for the readers. Second, authentic precedents allow readers to understand their exact meanings, because authentic precedents with the same meanings are expressed in various formats, such as in words, phrases or in sentences. In addition, readers are able to learn knowledge and culture from reading Korean long piece novels by reviewing what they had previously known. Third, an identical form of authentic precedents may reinforce Confucian notion or realistic situational logic within a single text. Through such reading process, the readers are able to develop a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multifaceted meaning of the text.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장편가문소설의 전고의 양상
3. 전고의 독서 역학적 작용과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문 번역본 <설공찬전>에 반영된 사생관(死生觀) 고찰
- <보은기우록>에 나타난 망모(亡母) 추모 양상과 그 의미
- 17ㆍ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 고전시가에 나타난 '비'의 실상과 그 의미
- 尋父談의 淵源과 文學的 形象化
- 설화를 활용한 공간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 장편가문소설의 전고(典故)와 독서 역학적 연구
- 운영의 자살심리와 <운영전>의 치유적 텍스트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시론
- 성간(成侃)의 <용부전(慵夫傳)>을 통해 본 은둔형 외톨이의 문제와 회복 과정
-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중반의 날씨 기록과 표현
- <원한 품고 태어난 조카 알아본 허미수>의 인물성격과 편집증적 부모서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