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설화를 활용한 공간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이용수 713
- 영문명
- A research the planning of Place Storytelling with tales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김광욱(Kim, Kwang-wook)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1권, 91~116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설화를 활용하여 제주 남부지역 해안도로의 스토리텔링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광학과 융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문학과 관광학이 '이야기(Story)'라는 동일 단어를 사용하지만 의미하는 바가 일치할 수 없음을 살피고, 서로간의 이해가 상충되는 지점을 찾아내면서 시작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이야기(Story)'의 정의를 논하기 보다는 설화를 소재로 공간을 스토리텔링화할 때 주의해야할 점과 좋은 점들을 살펴 스토리텔링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주력했다. 이를 전략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유의사항을 도출하였다. 첫째, 외부인들이 특정장소의 전설을 쉽게 이해하지 못할 경우 설화의 새로운 전승이 일어날 수 없다는 점, 둘째 특정 지형지물과 연관이 없는 설화는 그 의미를 왜곡하지 않는 범위에서 개연성을 창출해야 한다는 점, 셋째 문학적 측면에서 가치가 높은 설화 보다는 관광객들의 인지도가 높은 장소를 우선 순위에 두고 설화를 선별해야 상호간 원활한 소통에 성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유의사항을 통해, 네 가지 개발 유형을 설정하였다. 1) 비교적 쉽게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는 기본형, 2) 사진 촬영을 통해 관광객 중심의 이야기를 만들어나가는 포토텔링 아일랜드형, 3) 다큐나 애니메이션 등의 콘텐츠를 통해 관광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영상 관람형, 4) 이야기에 등장하는 놀이나 의식 등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벤트형이 그것이다.
이러한 유형들이 구체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고려할 요소가 있다. 1) 다른 도입 시설 계획과 동떨어지지 않고 유기적으로 결합하여야 하고, 2) 구상안이 현실이 되기 위해서는 설치비용과 기술적 구현 가능성을 점검하고 추후 관리비용 확보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한 가지 사례를 통해 보편화에 접근하려는 오류를 시작부터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사례가 이전부터 존재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드물게 행해질 것으로 예측되는 바, 사례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발전을 꾀한다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앞으로 많은 사례들이 보고되어 공간 스토리텔링 담론이 형성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about how to adapt from Korean tales on the coastal road in Jeju island. The 'Story' which mentioned by tourism studies is same with that in literature, yet each meaning is different in practice, and we found out what points are different each other.
In this case, it would be better for us to figure out somethings we have to pay attention and pros when we keep our view in literature, and then present ideas about plan of place storytelling adapted from Korean tales than to debate the definition of storytelling.
In this paper, we focus on storytelling to deliver meanings and to be moved to tourists, and find out some cautions as below:
ⅰ) If tourists cannot understand a legend about someplace, we cannot expect a new type transmission.
ⅱ) If a story don't have any relation with the site, we have to make probability.
ⅲ) We can success to make each other communicate more lively.
We can set four development types via those.
ⅰ) The basic type which can deliver stories to tourist easy.
ⅱ) The photo-telling type which can creative many Host-generated stories.
ⅲ) The show type in order to stimulate curiosities of tourists via documentaries or animations.
Also we have to pay attention as belows in order to make ideas come true.
ⅰ) Organic convergence between storytelling ideas and construction plan
ⅱ) To check construction budget, possibility of realization in technical and maintanence.
This paper has an fatal error that we try to access to generalization with just this case. It will be maken up for the error as we'll report many cases about place storytelling.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이야기 (Story)'를 바라보는 두 관점
3. 설화를 활용한 해안도로의 스토리텔링화 전략
4. 스토리텔링의 현실화를 위한 두 가지 조건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문 번역본 <설공찬전>에 반영된 사생관(死生觀) 고찰
- <보은기우록>에 나타난 망모(亡母) 추모 양상과 그 의미
- 17ㆍ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 고전시가에 나타난 '비'의 실상과 그 의미
- 尋父談의 淵源과 文學的 形象化
- 설화를 활용한 공간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 장편가문소설의 전고(典故)와 독서 역학적 연구
- 운영의 자살심리와 <운영전>의 치유적 텍스트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시론
- 성간(成侃)의 <용부전(慵夫傳)>을 통해 본 은둔형 외톨이의 문제와 회복 과정
-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중반의 날씨 기록과 표현
- <원한 품고 태어난 조카 알아본 허미수>의 인물성격과 편집증적 부모서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