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7ㆍ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이용수  733

영문명
A Study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17th-18th Centuries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정선희(Jeung, Sun-hee)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1권, 169~200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7ㆍ18세기에 주로 향유되었던 국문장편소설인 <소현성록>ㆍ<소씨삼대록> 연작과 <현몽쌍룡기>ㆍ<조씨삼대록> 연작에 나타난 부모-자녀 간 관계 양상을 자녀 훈육의 덕목과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가문의 창달과 계승에 주된 관심이 놓여 있는 소설들이므로 어떠한 가치관과 삶의 태도를 자녀들에게 전수하려고 했는가, 어떤 방식으로 교육했는가 하는 것들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아들에게 엄하지만 은근한 정을 표현하는 아버지, 아들 평가의 척도가 되는 어머니, 딸의 능력을 인정해주고 교육하는 아버지, 딸을 자신의 분신으로 인식하기에 더 엄격한 어머니 등의 부모상(父母像)이 추출되었다.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에서는 엄한 가르침과 강한 체벌이 종종 부각되었는데 특히 혼인이나 색탐(色貪)에 관련된 부분들에 민감했다. 어머니와 아들의 관계에서도 혼인과 제가(齊家)에 관련되는 경우가 중요한 사안으로 부각되었다. 이는 작품의 주된 서사가 가정 내에서의 부부 갈등이나 혼인과 관련된 이야기이기 때문일 것이며, 사대부가 여성들이 주된 독자인 것과 관련된 부분이기도 하다. 본고를 통해 국문장편 고전소설 향유층이 자녀를 어떤 인물로 키워내고자 했는지, 어떤 인간형을 이상적이라고 생각했는지, 부모-자녀 간 관계 속에서 소망하던 바는 무엇이었는지 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아울러 17세기 후반부터 강화되기 시작한 가부장제, 종법적인 부계 가족 질서, 남성중심적 이데올로기 등이 당대인들의 삶과 의식에 침투하여 작동하는 양상, 그러면서도 이에 대해 은근히 저항하면서 생동하던 인물군상의 복잡다단한 갈등과 심리 등을 읽어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paper reviews four series novels written in Korean vernacular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The Story of So Hyeon-seong (Sohyeonseongnok), Three Generations of the Soh Family (Sossisamdaerok) and A Dream of Two Dragons (Hyeonmong ssangnyonggi)-to examine how parents in the novels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A special focus is given to the virtues taught to the children and the way they are disciplined. Since these novels' main theme is the family's prosperity and the succession of their bloodline, important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 way how their characters try to pass on certain values and attitudes toward life to their children, and how they educate them. Accordingly, the study analyzes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these novel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patterns: 1) father and son (a father who is stern to his son but occasionally expresses warm fatherly affection); 2) mother and son (qualities in a mother, which are generally assumed to have been inherited by her son); 3) father and daughter (a father who recognizes his daughter's talent and educates her); and 4) mother and daughter (a mother who considers her daughter as her alter ego, and thus who is even stricter to her). These relationship patterns reveal the interest, duties and wishes of women in noble families, who composed the main readership of the novels at the time of their publication.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17ㆍ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양상
3. 17ㆍ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부모-자녀 관계의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선희(Jeung, Sun-hee). (2010).17ㆍ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1 , 169-200

MLA

정선희(Jeung, Sun-hee). "17ㆍ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1.(2010): 169-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