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중반의 날씨 기록과 표현
이용수 656
- 영문명
- The Record and Expression of the Weather in-the mid 16C in Mi-Am ilgi(眉巖日記)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이연순(Lee, Yeon-soon)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1권, 145~168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16세기 중반 眉巖 柳希春이 남긴 『미암일기』를 대상으로 이에 나타난 날씨 관련 기록 양상과 날씨를 통한 표현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시 날씨 변화는 民生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한편 정치적 문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날씨 변화는 풍수해와 가뭄, 蝗蟲의 재앙 등 여러 자연 재해를 동반하였고, 이때마다 민생 문제 곧 기본적으로 衣食住 생활과 농업형태, 그리고 풍속의 형성과 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에 국가에서는 가뭄이나 홍수가 계속 될 경우 祈雨祭나 祈請祭 등 氣候儀禮를 대대적으로 치러 흉년에 대비하였다. 또한 민생의 문제가 심각해질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軍籍을 정지하거나 사치 방지 등을 조장해 제도적으로 백성의 구제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당시 날씨의 급격한 변화는 정치적으로 해석돼, 선조 즉위년인 1567년 우레의 變이 심한 것을 계기로 을사사화에 被禍되었던 인물들을 정계에 복귀시키는 결정을 내리기도 하였다. 여기에는 당시 동아시아에 널리 퍼져있던 성리학적 인식론에 기반을 둔 '天人感應'의 이론적 사고가 자리하고 있었다. 미암 또한 천인감응에 따른 날씨 해석으로 자신의 감회를 표현하거나, 또는 순수하게 날씨 변화를 통해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고 소회를 표출하기도 하였다. 이는 날씨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였던 데에서 나올 수 있었던 것으로, 여느 일기에서는 보기 드문 독특한 표현이다.
이처럼 미암이 일기에 날씨를 기록하면서 동시에 국가와 백성, 그리고 자신의 삶에 대한 관심을 표현해 놓아, 16세기 중반 일기문학을 통해 조선시대 사대부가 愛民意識을 드러내고 한편으로 자신의 감회를 표출한 또 다른 방식을 보여준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발견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made an attempt to clarify the fe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weather record and expression ln-the mid 16C through Mi-Am ilgi(眉巖日記).
The weather is a formality element in journal. However, Mi-Am did not regard weather as a formality element, but also had concern the people, politcts and the life of his own associated with weather. And he recorded the change of weather in journal.
Thus his record have a significance in the way that he realized the weather influence all sorts of things phenomena and expressed his feelings in journal.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미암의 날씨 기록과 표현
3. 의의와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문 번역본 <설공찬전>에 반영된 사생관(死生觀) 고찰
- <보은기우록>에 나타난 망모(亡母) 추모 양상과 그 의미
- 17ㆍ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 고전시가에 나타난 '비'의 실상과 그 의미
- 尋父談의 淵源과 文學的 形象化
- 설화를 활용한 공간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 장편가문소설의 전고(典故)와 독서 역학적 연구
- 운영의 자살심리와 <운영전>의 치유적 텍스트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시론
- 성간(成侃)의 <용부전(慵夫傳)>을 통해 본 은둔형 외톨이의 문제와 회복 과정
-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중반의 날씨 기록과 표현
- <원한 품고 태어난 조카 알아본 허미수>의 인물성격과 편집증적 부모서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