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aby Boomer's Housing Consciousness and Housing Preferenc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권도영(Do Young Kwon) 박경옥(Kyoung Ok Park)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18권 제1호, 161~172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using consciousness and future housing preferences of baby boomers residing in non-capital areas in order to suggest dire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developments targeting the baby boomers in the areas. Between May 1 to May 9, 2014,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54 baby boomers in Daejon Metropolitan City and Cheongju who were born between 1955 to 1963.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by the SPSS WIN 19 for frequency, percentage, χ2-test, ANOVA,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ousing consciousness factors are housing environment factor,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economic factor, managerial factor, and safety factor. The highest average factor was the safety factor, and next was the managerial factor. The factor lower than the average was the economic factor, which means that baby boomers consider houses as only for reside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ir socio-econom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housing consciousness on residential characteristics. 2) The ratio of baby boomers who have no fixed retire schedule and no plan to move after retire was high, and the ratio of who want to move according to their economic situation was also high. The possession of residence was more desired than now, but the type and size of residence were almost unchanged; apartment and 30 pyeong and equivalent. The multi-habitation, living in a city and in a rural place as well, was found as a new trend for the desired residence type of baby boomer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언어능력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친환경 패션제품 인지도 및 구매실태
- 충북지역 일부 대학생의 2011년 일본 원전 사고 이후 식품구매행동과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
- 충북지역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식생활지침 이행도와의 관계
- 이동식 레크리에이션 차량의 다목적 활용을 위한 유형별 공간계획특성 분석
- 대학생의 노부모부양 및 재산상속에 대한 태도
- 비정규직 고착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중년층 소비자의 등산용품 소비동기와 구매 결정요인
- 대학생의 저축 및 투자행동과 재무관리 역량
- 대학생소비자의 인터넷 쇼핑몰 이용후기의 사용과 구매에 미치는 영향
- 패스트 패션 브랜드의 점포환경요소에 관한 연구
- 여대생들의 보정속옷 착용실태와 착용만족도
- 충북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식단관리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2)
- 유아기 아버지 자기결정성과 부모역할 동기 및 역할만족도가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청주시 유아부모의 간식 구입 시 식품영양표시 활용도
- 베이비부머의 주의식과 주거선호
- 스노보드복의 구매행태와 치수적합도 및 만족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