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시아연방 하카스공화국의 언어정책과 언어상황

이용수  97

영문명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Situation in the Republic of Khakassia of the Russian Federation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김민수(Kim Minsoo)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발칸연구 제38권 2호, 3~36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러시아연방 하카스공화국의 명목 민족어인 하카스어는 1993년부터 유네스코의 '소멸 위기 언어'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하카스공화국의 언어상황은 기본적으로 공화국 내 하카스인 인구가 2010년 기준 63,643명 불과하고 공화국 인구에서 하카스인이 차지하는 비율도 12%에 지나지 않아 가까운 장래에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기 어렵다. 그렇지만 공화국 정부가 헌법과 제 민족 언어에 관한 법률, 교육에 관한 법률 등 각종 언어관련 법률을 통해 하카스어 보존, 발전을 위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고, 하카스인이 전통문화 부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한편, 하카스 청년들의 모어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있어 점진적으로나마 상황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경향이 후퇴하지 않고 하카스어 상황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데는 연방정부의 하카스어 교육 프로그램과 교재 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더불어 하카스공화국이 '제 민족 언어에 관한 법' 등 언어관련 법률 규정을 하카스어의 사회적 기능이 대폭 강화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정하는 등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하카스어 상황개선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하카스 전통문화 부흥과 하카스어 보호 및 발전에 대한 하카스인 자신의 의지와 노력이다.

영문 초록

Since 1993 Khakas language is included in the list of endangered languages by UNESCO. But the language situation in the Republic of Khakassia can not be improved a lot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population of Khakas is only 63,643 and the Khakas people account for only about 12% of the total population of the republic But we can expect that Khakas language situation will improve slowly but steadily. Because the republican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preserve and promote the Khakas language through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and the law on languages and Khakas people are also making efforts to restore the traditional culture. Furthermore, the consciousness of young Khakas people about the native language improves. But still need the support of the federal governme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teaching Khakas language. Yet the Republic of Khakassia need to amend various laws relating to languages to increase social function of Khakas language and create a normal situation of khakas-russian bilingualism.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improving the Kakas language situation is their own will and effort to revive Khakas traditional culture and protect Khakas language.

목차

<국문개요>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수(Kim Minsoo). (2014).러시아연방 하카스공화국의 언어정책과 언어상황. 동유럽발칸연구, 38 (2), 3-36

MLA

김민수(Kim Minsoo). "러시아연방 하카스공화국의 언어정책과 언어상황." 동유럽발칸연구, 38.2(2014): 3-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