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이 고용과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95
- 영문명
- Effects of Firms' Financial Stability on Job Creation and Stability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김성환(Kim, Sunghwan) 김종운(Kim, Jong-Woon)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28卷 第4號, 271~29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 등을 거치면서, 기업이 재무환경 변화에 따라 고용정책에 있어 재무적 요소를 기본적으로 의사결정에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근의 추세를 반영하여, 기업의 고용과 고용안정성에 있어서, 기업의 부채비율 등 재무비율이나, 소유구조 등 재무적 안정성을 중심으로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05, 2007, 2009년도 사업체패널조사(WPS: Workplace Panel Survey)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에서는 기업이 부채 레버리지 수준이나 부실 가능성 보다는 직접적인 노사간 고용안정 계약이 고용증대나 고용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2) 기업규모가 큰 기업, 존속기간이 긴 기업,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고용증대나 고용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 최대주주의 지배력이 강한 기업일수록 고용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 개인회사 등 사기업적 특성이 고용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4) 여성인력채용은 고용 창출에 도움이 되지만 고용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연구와 달리 기업의 고유한 재무적 안정성이나, 경영의사 구조, 직원구성 등이 고용창출이나 고용안정성을 제고시키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을 찾아 낸 점이 기존 연구와 차별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가능성이나 안정성이 고용안정성 증진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부실 등 재무적 안정성이 취약한 기업이나 직원을 자주 해고하는 기업에 대하여는 노사간 고용안정계약 등 보다 직접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rm specific factors like governance, ownership structure and financial performances and status of the firms in Korea, the most dominant major channel of employment and the primary sources of job instability and insecurity for the employees on job creation and job stability. This approach compared to other previous studies in this field incorporates many different disciplines regarding employment like economics, management(HRM), accounting, finance, etc. From these study we try to find out factors affecting quality markets in Korea, using the three bi-annual panel survey database (Year 2005, Year 2007, Year 2009) of Korea Labor Institute.
From the panel regression, we find that in Korea financial leverage and default risks of firms do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job creation and job stability in the corporate side, that firm sizes, firm ages and profitability measured by ROA of firm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job stability of employees, that higher shareholdings of the primary owner also affects positively on job stability of employees, and that the fact that firms are privately owned by corporations or individuals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s on job stability of employees. However, female employment aff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job creation, but negatively on job stability.
The test results might suggest that firms make employment decision and HRM plans incorporating their constraints in resources, financial and/or non-financial, and thus, the government, or policymakers in the control tower for the national economy should study ways to improve the baseline factors of the firms for higher employment rate and enhanced job stability to achieve a sustainable and extensive welfare society for the public.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가설 및 모형설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이 고용과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조직에서 사회복지사의 관계규범이 신뢰, 관계결속, 관계자산,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위기의 부정적 효과
- 경영자의 이익예측정보가 정보비대칭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조직의 팀속성과 팀성과의 관계
- 연구개발 투자와 대리인 비용
- The Effect of Speech Recognition on Computer-Mediated Group Idea Generation
- A Goal Programming Model for Logistics Network Decisions Considering Service Factors
- 판매종업원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열의요인에 관한 연구
- 기업의 배당조정속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주거래은행 관계와 중소기업 대출의존도에 관한 연구
- 대 한국 미ㆍ일 직접투자의 특성 변화
- 소유지배괴리도가 경영자의 매출액 과대예측편의에 미치는 영향
- 경기변동과 주가수익률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글로벌경영학회지 제22권 제3호 목차
- Traditional Banking Sector Involvement in the Face of Fin-Tech Innovation : Management Perspectives from Nigeria
- 기업 ESG에서의 동료 효과(peer effects)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